TerraFirmaCraft 2.2.3

Welcome traveller! This book will be the source of all you need to know as you explore the world of TerraFirmaCraft (TFC).

세계

당신을 둘러싸고 있는 자연의 세계에 대한 모든 것.

생물군계

세계는 생물군계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생물군계는 대략적인 풍경과 지표면의 물질, 그리고 다른 특징들을 결정합니다. 당신은 바다나 강줄기, 평원이나 언덕과 산 등의 여러 다양한 생물군계들을 탐험해볼 수 있습니다.

다음 페이지에서는 (전부는 아니지만) 이 세계에서 당신이 찾아볼 수 있는 생물군계들에 대한 정보가 있습니다.

평원

평원은 고도가 낮은 생물군계로, 언덕과 비슷하지만 해수면 바로 위에 있습니다. 평원은 평평하며 잔디나 꽃, 또는 숲이 있을 수 있습니다.

평원의 예시.

언덕 & 구불구불한 언덕

언덕과 구불구불한 언덕은 고도가 낮거나 중간 정도인 생물군계로, 일반적으로 평원이나 고도가 높은 생물군계에 접합니다. 이곳에서는 큰 바위와, 드물지만 빈 화산 온천의 흔적을 찾을 수 있습니다.

강이 흐르는 구불구불한 언덕.

악지

악지는 고도가 중간 정도인 대륙성 생물군계로, 보통 고원이나 산, 또는 구불구불한 언덕 근처에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모래와 사암이 겹겹이 쌓인 능선이 있습니다. 모래의 종류는 빨강/갈색 또는 노랑/하양, 아니면 중간일 수도 있습니다.

악지의 예시.

고원

고원은 고도가 높은 대륙성 생물군계입니다. 고원은 평평하고 풀이 많은 지역이라는 점에서 고도가 높은 평원과 비슷합니다. 고원에서는 흔히 바위들을 찾을 수 있으며, 가끔은 말랐거나 비어있는 온천도 찾을 수 있습니다.

깊은 협곡에 강이 흐르는 고원.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여러 종류의 산들을 찾을 수 있습니다. 오래된 산 생물군계는 더 낮고 완만하지만, 산 생물군계는 바위 절벽으로 높게 뻗어 있습니다. 지질학적 활동이 활발한 곳에 형성된 산에는 온천이 생길 수 있으며, 또한 드물게는 화산이 생깁니다.

눈 비탈과 그 위에 온천이 있는 오래된 산.

저지대

높이 솟은 과는 반대로, 저지대는 축축하게 물로 채워진 생물군계입니다. 해수면 이하에서 많은 신선한 물들과 진흙이나 많은 식물도 찾을 수 있습니다.

저지대의 예시.

낮은 협곡

낮은 협곡은 또 다른 저고도의 대륙성 생물군계로, 보통 바다나 다른 고도가 낮은 생물군계에 접합니다. 그곳은 또한 약간의 언덕과 비틀린 연못들이 있는 지역입니다. 낮은 협곡은 지질학적 보호막과 비슷하며, 활동적이지 않은 빈 온천들이 존재할 수도 있습니다.

낮은 협곡의 예시.

협곡

낮은 협곡과 비슷하게, 협곡은 고도가 중간 정도인 대륙성 생물군계로 약간의 언덕과 비틀린 연못, 호수들이 있는 지역입니다. 이곳은 낮고 완만한 화산들이나 바위, 활동적인 온천들이 자주 보이는 지질학적으로 활발한 지역입니다.

근처에 화산이 있는 협곡.

바다

TerraFirmaCraft의 광대한 바다는 대륙을 서로 분리합니다. 바다의 표면을 본다면 그저 넓게 퍼진 물일 뿐이지만, 아래에서는 다양한 식물, 해양 동물, 그리고 해조류도 찾을 수 있습니다. 추운 기후의 바다에서는 높은 빙산들과 떠다니는 유빙들을 찾을 수도 있습니다.

해안가에서 본 바다.

강이 흐르는 곳에서

여러분이 탐험하는 동안 강, 호수, 또는 바다와 같은 넓은 물을 만나게 될 수도 있습니다. 강과 호수는 민물로 이루어져 있지만, 바다는 바닷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민물을 마시면 갈증이 해소되지만, 바닷물을 마시면 시간이 지날수록 갈증이 더 심해집니다.

강.

TerraFirmaCraft의 강은 흐름이 있습니다. 강의 흐름은 흐르는 물과 같이 아이템이나 플레이어, 엔티티들을 밀어냅니다. 강의 흐름은 궁극적으로는 바다로 향하며, 그 과정에서 다른 물줄기와 합쳐질 수도 있습니다. 때때로 강이 지하로 사라질 때가 있고, 심지어 드물게는 지하의 넓은 동굴 호수를 볼 수도 있지만, 강은 결국 언젠가는 바다로 이어집니다.

지하 강의 일부분.

광석 침전물

강이나 호수에서는 또한 몇몇 자원들을 발견할 수도 있습니다. 첫 번째는 작은 광석 침전물입니다. 작은 광석 점이 박힌 자갈을 강이나 호수의 바닥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이 자갈들은 사금질을 하여 적은 양의 광석을 얻을 수 있습니다. 자연동, 자연은, 자연은, 그리고 주석석을 이 방법으로 찾을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예시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deposit/native_gold/slate"
    }
}

점판암 속의 자연금 침전물.

보석 원석

호수는 자갈 속 광석 침전물 뿐 아니라, 몇몇 보석들 또한 숨길 수 있습니다. 자수정이나 오팔은 이러한 방식으로 호수 및 강 아래의 땅 또는 광맥에서 발견될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예시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amethyst/limestone"
    }
}

석회암 속의 자수정 광석.

지질학

TerraFirmaCraft의 세계는 판 구조론에 의해 생성되며, 그 중 일부는 여전히 당신 주변의 땅에서 볼 수 있습니다. key.inventory 키를 누르고, 기후 탭에 들어가면 지역 옆에 현재 지질학적 지역이 표시됩니다. 여러 종류의 지역들이 있으며, 이는 무슨 종류의 생물군계와 특성들이 그 지역에 나타날지에 대해 영향을 미칩니다.

다음은 여러 종류의 지역들과 주요 특징들의 목록입니다.

해양
대부분의 바다를 이루는 판의 종류로, 거의 대부분 바다 또는 깊은 바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대륙 저지대
세 개의 주요 대륙성 지역 중 하나입니다. 저지대, 낮은 협곡, 또는 평원 등의 고도가 낮은 생물군계를 흔히 이룹니다.

대륙 중지대
대륙 중지대는 많은 생물군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대륙 저/고지대와 접합니다.

대륙 고지대
구불거리는 언덕, 고원, 그리고 오래된 산 등의 고도가 높은 지역입니다.

해령
해령은 두 개의 해양판이 서로 멀어질 때 형성됩니다.

약간의 화산들을 만들거나 드물게 화산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해양 섭입대
섭입대는 하나의 판이 다른 판 아래로 내려가는 곳입니다. 바다에서 이는 많은 화산들과 호상 열도, 또한 해구를 만들 수 있습니다.

대륙 섭입대
대륙 섭입대에서는 해안가에 큰 산이 있으며 화산 활동이 잦습니다. 활동적인 온천들과 화산들도 흔합니다.

열곡
열곡은 두 개의 대륙판이 멀어질 때 형성되는 곳으로, 아이슬란드 등의 예가 있습니다. 협곡 생물군계가 이곳에서 생성되며, 고도가 높은 다른 생물군계들과 덜 활동적이고 낮은 화산들 또한 생성됩니다.

조산대
조산대는 산의 주요 형성 지역입니다. 조산대는 두 개의 대륙판이 충돌할 때 형성되며 고원을 만들어냅니다.

대륙붕
마지막으로, 대륙붕은 해안가에서 떨어진 얕은 바다의 부분입니다. 따뜻한 기후에서는 산호초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암석층

세계는 또한 여러 종류의 암석들로 나뉩니다. 각 암석의 지역들은 몇 킬로미터도 넘을 수 있고, 당신의 발 아래에 있는 층 아래에는 보통 2-3개의 또 다른 암석층이 있습니다. 각각의 암석 종류마다 다른 종류의 광석들을 찾을 수 있기 때문에, 특정한 암석 종류를 찾는 것은 광석을 찾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며, 대부분의 광석들은 특정한 암석 종류에서만 나타납니다.

암석에는 퇴적암, 변성암, 화산암, 그리고 심성암 4가지 범주가 있습니다. 암석의 범주는 각각의 암석층이 발견되는 깊이를 결정합니다. 다음 페이지에는 모든 암석의 종류와 암석이 속하는 범주에 대한 목록이 있습니다.

퇴적암

퇴적암은 광물 또는 유기물 입자들의 퇴적으로 형성되는 암석입니다. 퇴적암은 높은 고도중간 고도의 암석층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다음은 퇴적암의 목록입니다:

  • 셰일
  • 점토암
  • 석회암
  • 역암
  • 역암
  • 각암
  • 백악

변성암

변성암은 변성작용을 받아 형성되는 암석입니다. 변성암은 아무 고도에서나 찾을 수 있습니다. 다음은 변성암의 목록입니다:

  • 규암
  • 점판암
  • 천매암
  • 편암
  • 편마암
  • 대리암

화산암

화산암은 마그마가 지표에서 식어 형성되는 암석입니다. 화산암은 높은 고도중간 고도의 암석층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다음은 화산암의 목록입니다:

  • 유문암
  • 현무암
  • 안산암
  • 석영안산암

심성암

심성암은 마그마가 지각 아래 깊은 곳에서 식어 형성되는 암석입니다. 심성암은 낮은 고도중간 고도의 암석층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다음은 심성암의 목록입니다:

  • 화강암
  • 섬록암
  • 반려암

광석과 광물

TerraFirmaCraft에서 광석과 광물들은 흔하지 않습니다. 바닐라와 다르게, 광석들은 탐색기로 찾을 수 있는 거대하지만 드문 광맥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각각의 광물마다 발견할 수 있는 암석 종류나 고도가 다릅니다. 따라서 원하는 광석을 찾기 위해서는 올바른 고도에서 올바른 암석의 종류를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몇몇 광석들에는 등급이 있습니다. 광석 블록은 빈약하거나, 평범하거나, 또는 풍부할 수 있으며 각각의 광맥들은 각 종류의 블록마다 다른 밀집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풍부한 광맥일수록 더 효율적입니다.

다음 페이지에는 다양한 종류의 광석들과 광석들을 찾아야 하는 곳에 대한 정보가 있습니다.

자연동

자연동은 구리 광석입니다. 모든 고도에서 발견할 수 있지만, 깊은 광맥일수록 대체로 풍부합니다. 자연동은 화산암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poor_native_copper/dacite"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normal_native_copper/dacite"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rich_native_copper/dacite"
    }
}

석영안산암 속의 자연동 광석.

자연금

자연금은 광석입니다. Y 좌표 60 이하에서 발견할 수 있으며, 깊은 광맥일수록 대체로 풍부합니다. 자연금은 화산암심성암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poor_native_gold/diorite"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normal_native_gold/diorite"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rich_native_gold/diorite"
    }
}

섬록암 속의 자연금 광석

자연은

자연은은 광석입니다. Y 좌표 -32 이상 100 이하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자연은은 화강암 또는 편마암에서 많이 발견되지만, 작고 빈약한 광맥들은 아무 변성암에서도 찾을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poor_native_silver/granite"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normal_native_silver/granite"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rich_native_silver/granite"
    }
}

화강암 속의 자연은 광석.

적철석

적철석은 광석입니다. Y 좌표 75 이하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적철석은 화산암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poor_hematite/andesite"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normal_hematite/andesite"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rich_hematite/andesite"
    }
}

안산암 속의 적철석 광석.

주석석

주석석은 주석 광석입니다. 모든 고도에서 발견할 수 있지만, 깊은 광맥일수록 대체로 풍부합니다. 주석석은 심성암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화강암에서, 주석석 광맥은 토파즈를 약간 포함할 수도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poor_cassiterite/diorite"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normal_cassiterite/diorite"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rich_cassiterite/diorite"
    }
}

섬록암 속의 주석석 광석.

휘창연석

휘창연석은 비스무트 광석입니다. 모든 고도에서 발견할 수 있지만, 깊은 광맥일수록 대체로 풍부합니다. 휘창연석은 심성암퇴적암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poor_bismuthinite/shale"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normal_bismuthinite/shale"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rich_bismuthinite/shale"
    }
}

셰일 속의 휘창연석 광석.

규니켈석

규니켈석은 니켈 광석입니다. Y 좌표 -32 이상 100 이하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규니켈석은 반려암에서 많이 발견되지만, 작고 빈약한 광맥들은 아무 심성암에서도 찾을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poor_garnierite/gabbro"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normal_garnierite/gabbro"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rich_garnierite/gabbro"
    }
}

반려암 속의 규니켈석 광석.

공작석

공작석은 구리 광석입니다. Y 좌표 -32 이상 100 이하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공작석은 대리암이나 석회암에서 많이 발견되지만, 작고 빈약한 광맥들은 천매암, 백악, 그리고 백운암에서도 찾을 수 있습니다.

석회암에서, 공작석 광맥은 석고를 약간 포함할 수도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poor_malachite/marble"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normal_malachite/marble"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rich_malachite/marble"
    }
}

대리암 속의 공작석 광석.

자철석

자철석은 광석입니다. Y 좌표 60 이하에서 발견할 수 있으며, 깊은 광맥일수록 대체로 풍부합니다. 자철석은 퇴적암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poor_magnetite/limestone"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normal_magnetite/limestone"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rich_magnetite/limestone"
    }
}

석회암 속의 자철석 광석.

갈철석

갈철석은 광석입니다. Y 좌표 60 이하에서 발견할 수 있으며, 깊은 광맥일수록 대체로 풍부합니다. 갈철석은 퇴적암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석회암이나 셰일에서, 갈철석 광맥은 루비를 약간 포함할 수도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poor_limonite/chalk"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normal_limonite/chalk"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rich_limonite/chalk"
    }
}

백악 속의 갈철석 광석.

섬아연석

섬아연석은 아연 광석입니다. 모든 고도에서 발견할 수 있지만, 깊은 광맥일수록 대체로 풍부합니다. 섬아연석은 변성암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poor_sphalerite/quartzite"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normal_sphalerite/quartzite"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rich_sphalerite/quartzite"
    }
}

규암 속의 섬아연석 광석.

사면동석

사면동석은 구리 광석입니다. 모든 고도에서 발견할 수 있지만, 깊은 광맥일수록 대체로 풍부합니다. 사면동석은 변성암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poor_tetrahedrite/schist"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normal_tetrahedrite/schist"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rich_tetrahedrite/schist"
    }
}

편암 속의 사면동석 광석.

역청탄

아이템: 역청탄 (Bituminous Coal)

역청탄은 석탄의 종류 중 하나입니다. Y 좌표 0 이상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역청탄은 퇴적암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bituminous_coal/chert"
    }
}

각암 속의 역청탄.

갈탄

아이템: 갈탄 (Lignite)

갈탄은 석탄의 종류 중 하나입니다. Y 좌표 100 이하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갈탄은 퇴적암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lignite/dolomite"
    }
}

백운암 속의 갈탄.

고령석

아이템: 고령석 (Kaolinite)

고령석은 내화점토 제작에 사용되는 광물입니다. Y 좌표 0 이상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고령석은 퇴적암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kaolinite/claystone"
    }
}

점토암 속의 고령석.

흑연

아이템: 흑연 (Graphite)

흑연은 내화점토 제작에 사용되는 광물 입니다. Y 좌표 100 이하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흑연은 편마암, 대리암, 규암, 그리고 편암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graphite/gneiss"
    }
}

편마암 속의 흑연.

진사

아이템: 진사 (Cinnabar)

진사는 맷돌로 갈아 레드스톤 가루를 얻는 데 사용되는 광물입니다. Y 좌표 100 이하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진사는 심성암, 규암 그리고 셰일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규암에서, 진사 광맥은 오팔을 약간 포함할 수도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cinnabar/quartzite"
    }
}

규암 속의 진사.

빙정석

아이템: 빙정석 (Cryolite)

빙정석은 맷돌로 갈아 레드스톤 가루를 얻는 데 사용되는 광물입니다. Y 좌표 100 이하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빙정석은 유일하게 화강암에서만 찾을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cryolite/granite"
    }
}

화강암 속의 빙정석.

초석

아이템: 초석 (Saltpeter)

초석은 맷돌로 갈아 화약 제작에 사용되는 광물입니다. Y 좌표 100 이하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초석은 퇴적암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석회암에서, 초석 광맥은 석고를 약간 포함할 수도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saltpeter/shale"
    }
}

셰일 속의 초석.

아이템: 황 (Sulfur)

황은 맷돌로 갈아 화약 제작에 사용되는 광물입니다. Y 좌표 0 이상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황은 화산암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더 흔하게는 화산 지대에서 높은 고도의 화산암심성암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sulfur/basalt"
    }
}

현무암 속의 황.

칼리암염

아이템: 칼리암염 (Sylvite)

칼리암염은 맷돌로 갈아 비료로 사용할 수 있는 광물입니다. Y 좌표 0 이상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칼리암염은 셰일, 점토암 그리고 각암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sylvite/chert"
    }
}

각암 속의 칼리암염.

붕사

아이템: 붕사 (Borax)

붕사 맷돌로 갈아 플럭스를 얻는 데 사용되는 광물입니다. Y 좌표 0 이상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붕사는 점토암, 석회암, 그리고 셰일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borax/shale"
    }
}

셰일 속의 붕사.

청금석

아이템: 청금석 (Lapis Lazuli)

청금석은 염료 제작에 사용될 수 있는 장식용 광물입니다. Y 좌표 100 이하에서 발견될 수 있습니다. 청금석은 석회암대리암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lapis_lazuli/limestone"
    }
}

석회암 속의 청금석.

석고

아이템: 석고 (Gypsum)

석고는 건축에 사용될 수 있는 장식용 광물입니다. Y 좌표 30 이상 90 이하에서 조밀한 고리 모양으로 나타납니다. 석고는 변성암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gypsum/phyllite"
    }
}

천매암 속의 석고.

암염

아이템: 암염 (Halite)

암염은 맷돌로 갈아 소금을 얻을 수 있는 광물로, 소금은 음식 보존에 중요합니다. Y 좌표 30 이상 90 이하에서 조밀한 고리 모양으로 나타납니다. 암염은 퇴적암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halite/chalk"
    }
}

백악 속의 암염.

에메랄드

아이템: 에메랄드 (Emerald)

에메랄드는 장식용 보석입니다. 꽤 예뻐 보이는데, 어쩌면 이 고독한 세상에서 누군가와 거래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에메랄드는 최대 60블록까지 수직적으로 광석이 생성됩니다. 심성암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emerald/diorite"
    }
}

섬록암 속의 에메랄드.

킴벌라이트

아이템: 킴벌라이트 (Kimberlite)

킴벌라이트는 귀중한 장식용 보석입니다. 킴벌라이트는 킴벌라이트 파이프라는 구조로 최대 60블록까지 수직적으로 광석이 생성됩니다. 유일하게 반려암에서만 찾을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ore/diamond/gabbro"
    }
}

반려암 속의 킴벌라이트.

달력과 기후

TerraFirmaCraft에서, 기후와 시간은 모두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달력부터 시작해봅시다.

당신은 아무 때나 key.inventory 키를 누르고 달력 탭으로 들어가 달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달력은 계절, 요일, 그리고 날짜를 보여줍니다.

달력 화면

날씨와 기후는 계절을 따라 변합니다! TerraFirmaCraft에는 사계절이 있고, 각각은 초~늦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사계절은 다음과 같습니다:

  • : 3월 - 5월
  • 여름: 6월 - 8월
  • 가을: 7월 - 11월
  • 겨울: 12월 - 2월

계절은 지역의 기후, 강수량 (비가 올지/눈이 올지) 등에 영향을 줍니다. 달력에 관심을 가지면 꽤나 유용할 겁니다!

다음은 기후입니다...

기후

인벤토리의 또다른 탭은 기후 화면입니다. 이 탭에서는 자신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보여줍니다.

첫 번째 줄은 대략적인 기후를 나타냅니다.

두 번째 줄은 지질학적 지역을 나타냅니다.

세 번째 줄은 연평균 기온을 나타냅니다.

기후 화면

TerraFirmaCraft의 기온은 많은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 첫째로는 지역, 그 중에서도 특히 위도 (Z 좌표)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칩니다.
  • 다음으로, 계절 또한 기온에 영향을 줍니다. 여름에는 더워지며, 겨울에는 추워집니다.
  • 마지막으로, 기온은 매일 달라질 수 있으며 심지어 시간마다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마지막 줄은 앞서 말한 모든 요인을 포함한 현재 기온을 나타냅니다.

기온은 식물과 작물이 자랄지, 눈이나 얼음이 녹을지 얼지 등의 많은 것들에 영향을 미칩니다.

강수량

강수량은 당신이 어디에 있는지에 따라 달라지는 또 다른 기후입니다. 연강수량은 0mm - 500mm 사이의 밀리리터 (mm) 단위로 측정됩니다. 강수량은 특정 지역에서 발견되는 식물들 과 모래, 실트나 양토 등의 흙의 종류, 그리고 케이폭나무에 이르기까지 영향을 미칩니다.

강수량은 또한 특정 지역에서 어떤 식물이 자랄 수 있는지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강수량은 수화의 주요 요인입니다. 수화는 어떤 위치의 땅이 얼마나 젖었는지에 대한 값으로 작물이나, 과일 나무, 베리 덤불이 자랄 수 있는지를 결정합니다.

식물

TerraFirmaCraft에는 아주, 아주 굉장히 다양한 종류의 식물들이 있습니다.

다양한 기후마다 다양한 식물들이 나타나며, 식물들의 형태는 계절마다 달라지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꽃이 피고 지거나, 기온 변화에 따라 색깔이 변할 수도 있습니다. 형형색색의 꽃들은 맷돌로 갈아 염료를 만들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일반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anthurium"
    }
}

일반적인 식물들은 작은 꽃 등이 있습니다. 잔디나 흙, 경작지에서 자랍니다.

멀티블록: 건조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sagebrush"
    }
}

건조한 식물들은 일반적인 식물들과 비슷하지만, 모래에서 자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강수량이 적은 지역에서 나타납니다.

멀티블록: 선인장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plant/barrel_cactus[part=upper]",
        "Y": "tfc:plant/barrel_cactus[part=lower]"
    }
}

선인장은 2블록 높이로 자라고, 당신에게 피해를 줍니다!

멀티블록: 이끼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moss[down=true]"
    }
}

이끼들은 붙어 있는 블록의 형태를 취합니다. 대체로 땅에서 한데 뭉쳐 생성됩니다.

멀티블록: 착생식물

{
    "pattern": [
        [
            "XY"
        ],
        [
            "0 "
        ]
    ],
    "mapping": {
        "X": "tfc:wood/wood/birch",
        "Y": "tfc:plant/licorice_fern[facing=south]"
    }
}

착생식물들은 원목의 옆면에서만 삽니다.

멀티블록: 짧은 잔디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bluegrass"
    }
}

짧은 잔디는 자라면서 점차 커집니다. 이탄이나 진흙에서도 자랄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큰 잔디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plant/king_fern[part=upper]",
        "Y": "tfc:plant/king_fern[part=lower]"
    }
}

큰 잔디는 당신의 시야를 가릴만큼 큽니다.

멀티블록: 덩굴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ivy[up=true,north=true]"
    }
}

덩굴 블록들은 충분히 따뜻하다면, 스스로 주위로 퍼집니다.

멀티블록: 늘어진 덩굴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plant/liana_plant",
        "Y": "tfc:plant/liana"
    }
}

늘어진 덩굴은 기준 블록에서 아래쪽으로 자랍니다.

멀티블록: 휘어진 덩굴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plant/arundo",
        "Y": "tfc:plant/arundo_plant"
    }
}

휘어진 덩굴들은 땅에서 위쪽으로 자랍니다. 딱딱한 종류도 존재합니다.

수생 식물

수생 식물들은 민물이나 바닷물 둘 중 하나에서만 자랍니다. 그 외에는 육지 식물들과 같이 자라고 행동합니다. 몇몇 수생 식물들은 요리하여 먹을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일반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sago[fluid=water]"
    }
}

일반 수생 식물은 칼로 잘라 해초를 얻을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수중 잔디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manatee_grass[fluid=salt_water]"
    }
}

수중 잔디는 물 속에서 자라는 잔디입니다.

멀티블록: 큰 수생 식물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plant/cattail[part=upper]",
        "Y": "tfc:plant/cattail[part=lower,fluid=water]"
    }
}

큰 수생 식물은 물 속의 바닥 블록부터 자랄 수 있습니다. 물토란과 부들은 로 잘라 뿌리를 얻을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부유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plant/duckweed",
        "Y": "minecraft:water"
    }
}

부유 식물은 물 위로 떠 있습니다. 보트와 부딪히면 부서집니다.

멀티블록: 켈프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plant/winged_kelp[fluid=salt_water]",
        "Y": "tfc:plant/winged_kelp_plant[fluid=salt_water]"
    }
}

켈프는 물 속에서 자라는 휘어진 덩굴입니다.

멀티블록: 나무 켈프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plant/giant_kelp_flower[facing=up,fluid=salt_water]",
        "Y": "tfc:plant/giant_kelp_plant[down=true,up=true,fluid=salt_water]"
    }
}

나무 켈프들은 물 속에서 복잡하게 나무로 자랍니다. 로 꽃을 수확할 수 있습니다.

야생 작물

세계 곳곳에서 흩어져 자라고 있는 야생 작물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야생 작물들을 수확하여 음식과 씨앗을 얻을 수 있으며, 그로써 야생이 아닌 작물을 재배할 수도 있습니다.

야생 작물을 수확하기 위해서 맨손이나 , 또는 다른 날카로운 도구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파괴되면 씨앗과 다른 아이템들을 떨어뜨립니다.

멀티블록: 야생 밀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wild_crop/wheat"
    }
}

야생 작물의 예시 - .

세계에는 많은 야생 작물들이 있으며, 모든 작물들은 세계 어디선가 자라는 야생종이 있습니다. 모든 작물의 목록을 확인해서 무엇을 기를 수 있는지 알아보세요. 야생 작물들은 일반 작물과 비슷하지만, 풀 속에 숨겨져 있습니다. 야생 작물은 해당 작물이 재배가 가능한 기후 근처에 생성됩니다. 그러므로 어떤 작물을 찾고 있다면, 그 작물이 자랄 수 있는 기후를 찾아보세요.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wild_crop/barley"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wild_crop/oat"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wild_crop/rye"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wild_crop/maize[part=top]",
        "Y": "tfc:wild_crop/maize[part=bottom]"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wild_crop/barley"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wild_crop/rice[fluid=water]"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wild_crop/beet"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wild_crop/cabbage"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wild_crop/carrot"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wild_crop/garlic"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wild_crop/green_bean[part=top]",
        "Y": "tfc:wild_crop/green_bean[part=bottom]"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wild_crop/potato"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wild_crop/onion"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wild_crop/soybean"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wild_crop/squash"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wild_crop/sugarcane[part=top]",
        "Y": "tfc:wild_crop/sugarcane[part=botto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wild_crop/tomato[part=top]",
        "Y": "tfc:wild_crop/tomato[part=botto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wild_crop/jute[part=top]",
        "Y": "tfc:wild_crop/jute[part=bottom]"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wild_crop/pumpkin"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wild_crop/melon"
    }
}

모든 야생 작물의 종류

야생 과일

다양한 종류의 많은 야생 과일들이 세계에서 자라고 있습니다. 이 과일들은 올바른 장비를 이용해 수집하여 먹거나 농사할 수 있습니다. 과일들은 다양한 종류의 덤불 또는 나무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과일은 과일 나무, 큰 덤불, 그리고 작은 덤불과 같은 종류의 식물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과일 식물들은 공통적인 생활 주기가 있습니다. 이들은 매년 자라고, 꽃을 피우고, 과일을 열고, 다시 집니다.

과일 식물들에는 철이 있습니다. 추운 계절에, 이 식물들은 갈색으로 변하고 죽습니다. 봄에는 초록색으로 변하고 생기를 찾으며, 과일을 열 준비를 하고 점차 자랍니다. 이런 일이 일어나는 정확한 때는 모든 과일이 다 다릅니다. 과일 식물들은 또한 오래되거나 알맞지 않은 기후에 있다면 죽을 수도 있습니다.

과일 나무

과일 나무는 작은 묘목에서 큰 꽃나무로 자랍니다. 과일 나무의 가지는 매우 중요하며 알맞은 기후에 있다면 계속 자라게 됩니다. 과일 나무들이 성숙하면, 가지 주변으로 이 납니다. 잎에서는 계절에 따라 꽃이 피거나 열매가 맺힙니다.

과일 나무의 예시.

과일 나무는 묘목에서부터 자랍니다. 해당 계절이 나무의 휴면기가 아니라면, 묘목은 나무의 자리를 잡고 자라기 시작합니다. 다 자란 나무의 크기는 원래 묘목 블록에 얼마나 많은 묘목이 있었는지에 따라 대략적으로 결정됩니다. 묘목이 많을수록 더 큰 나무가 자랍니다.
묘목들은 하나의 블록에 접목을 통해 추가될 수 있습니다. 접목하려면 묘목을 들고 왼손에는 칼을 든 상태에서 key.use을 누르면 됩니다.

묘목은 또한 과일 나무의 첫 번째 '팔꿈치' 부분, 즉 가지가 한 쪽과 위로 붙어 있는 곳에 놓일 수 있습니다. 이는 하나의 과일 나무가 여러 과일을 열 수 있게 합니다. 이 '팔꿈치'들을 도끼로 부수면 묘목이 또한 떨어집니다. 과일 나무 잎을 수확하기 위해서는 과일이 열린 잎에 key.use을 누르면 됩니다. 이는 하나의 과일을 떨어뜨리고, 휴면기에 들어갈 때까지 식물을 자라고 있는 상태로 되돌립니다.

체리 나무

기온: 5 - 25 °C
강수량: 100 - 350mm

멀티블록: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plant/cherry_leaves[lifecycle=dormant]",
        "Y": "tfc:plant/cherry_branch[up=true,down=true]"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plant/cherry_leaves[lifecycle=healthy]",
        "Y": "tfc:plant/cherry_branch[up=true,down=true]"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plant/cherry_leaves[lifecycle=flowering]",
        "Y": "tfc:plant/cherry_branch[up=true,down=true]"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plant/cherry_leaves[lifecycle=fruiting]",
        "Y": "tfc:plant/cherry_branch[up=true,down=true]"
    }
}

체리 나무의 계절별 변화

청사과 나무

기온: 1 - 25 °C
강수량: 110 - 280mm

멀티블록: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plant/green_apple_leaves[lifecycle=dormant]",
        "Y": "tfc:plant/green_apple_branch[up=true,down=true]"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plant/green_apple_leaves[lifecycle=healthy]",
        "Y": "tfc:plant/green_apple_branch[up=true,down=true]"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plant/green_apple_leaves[lifecycle=flowering]",
        "Y": "tfc:plant/green_apple_branch[up=true,down=true]"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plant/green_apple_leaves[lifecycle=fruiting]",
        "Y": "tfc:plant/green_apple_branch[up=true,down=true]"
    }
}

청사과 나무의 계절별 변화

레몬 나무

기온: 10 - 30 °C
강수량: 180 - 470mm

멀티블록: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plant/lemon_leaves[lifecycle=dormant]",
        "Y": "tfc:plant/lemon_branch[up=true,down=true]"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plant/lemon_leaves[lifecycle=healthy]",
        "Y": "tfc:plant/lemon_branch[up=true,down=true]"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plant/lemon_leaves[lifecycle=flowering]",
        "Y": "tfc:plant/lemon_branch[up=true,down=true]"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plant/lemon_leaves[lifecycle=fruiting]",
        "Y": "tfc:plant/lemon_branch[up=true,down=true]"
    }
}

레몬 나무의 계절별 변화

올리브 나무

기온: 5 - 30 °C
강수량: 150 - 500mm

올리브는 가공해서 램프 연료로 쓸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plant/olive_leaves[lifecycle=dormant]",
        "Y": "tfc:plant/olive_branch[up=true,down=true]"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plant/olive_leaves[lifecycle=healthy]",
        "Y": "tfc:plant/olive_branch[up=true,down=true]"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plant/olive_leaves[lifecycle=flowering]",
        "Y": "tfc:plant/olive_branch[up=true,down=true]"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plant/olive_leaves[lifecycle=fruiting]",
        "Y": "tfc:plant/olive_branch[up=true,down=true]"
    }
}

올리브 나무의 계절별 변화

오렌지 나무

기온: 15 - 36 °C
강수량: 250 - 500mm

멀티블록: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plant/orange_leaves[lifecycle=dormant]",
        "Y": "tfc:plant/orange_branch[up=true,down=true]"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plant/orange_leaves[lifecycle=healthy]",
        "Y": "tfc:plant/orange_branch[up=true,down=true]"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plant/orange_leaves[lifecycle=flowering]",
        "Y": "tfc:plant/orange_branch[up=true,down=true]"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plant/orange_leaves[lifecycle=fruiting]",
        "Y": "tfc:plant/orange_branch[up=true,down=true]"
    }
}

오렌지 나무의 계절별 변화

복숭아 나무

기온: 4 - 27 °C
강수량: 60 - 230mm

멀티블록: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plant/peach_leaves[lifecycle=dormant]",
        "Y": "tfc:plant/peach_branch[up=true,down=true]"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plant/peach_leaves[lifecycle=healthy]",
        "Y": "tfc:plant/peach_branch[up=true,down=true]"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plant/peach_leaves[lifecycle=flowering]",
        "Y": "tfc:plant/peach_branch[up=true,down=true]"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plant/peach_leaves[lifecycle=fruiting]",
        "Y": "tfc:plant/peach_branch[up=true,down=true]"
    }
}

복숭아 나무의 계절별 변화

자두 나무

기온: 15 - 31 °C
강수량: 250 - 400mm

멀티블록: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plant/plum_leaves[lifecycle=dormant]",
        "Y": "tfc:plant/plum_branch[up=true,down=true]"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plant/plum_leaves[lifecycle=healthy]",
        "Y": "tfc:plant/plum_branch[up=true,down=true]"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plant/plum_leaves[lifecycle=flowering]",
        "Y": "tfc:plant/plum_branch[up=true,down=true]"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plant/plum_leaves[lifecycle=fruiting]",
        "Y": "tfc:plant/plum_branch[up=true,down=true]"
    }
}

자두 나무의 계절별 변화

적사과 나무

기온: 1 - 25 °C
강수량: 100 - 280mm

멀티블록: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plant/red_apple_leaves[lifecycle=dormant]",
        "Y": "tfc:plant/red_apple_branch[up=true,down=true]"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plant/red_apple_leaves[lifecycle=healthy]",
        "Y": "tfc:plant/red_apple_branch[up=true,down=true]"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plant/red_apple_leaves[lifecycle=flowering]",
        "Y": "tfc:plant/red_apple_branch[up=true,down=true]"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plant/red_apple_leaves[lifecycle=fruiting]",
        "Y": "tfc:plant/red_apple_branch[up=true,down=true]"
    }
}

적사과 나무의 계절별 변화

바나나 나무

기온: 17 - 35 °C
강수량: 280 - 500mm

바나나는 특별한 종류의 과일 나무입니다. 바나나는 수직으로만 자라고, 잎이 적으며 맨 위의 블록에서만 열매가 열립니다. 묘목은 식물의 꽃 부분에서 떨어집니다. 바나나가 한 번 수확되면, 식물은 죽고 새로운 과일을 만들어내지 않습니다. 대신 다음 해 봄에 다시 심어져야 합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Y"
        ],
        [
            "X"
        ],
        [
            "X"
        ],
        [
            "X"
        ],
        [
            "0"
        ]
    ],
    "mapping": {
        "Y": "tfc:plant/banana_plant[stage=2,lifecycle=dormant]",
        "X": "tfc:plant/banana_plant[stage=1]",
        "0": "tfc:plant/banana_plant[stage=0]"
    }
}
{
    "pattern": [
        [
            "Y"
        ],
        [
            "X"
        ],
        [
            "X"
        ],
        [
            "X"
        ],
        [
            "0"
        ]
    ],
    "mapping": {
        "Y": "tfc:plant/banana_plant[stage=2,lifecycle=healthy]",
        "X": "tfc:plant/banana_plant[stage=1]",
        "0": "tfc:plant/banana_plant[stage=0]"
    }
}
{
    "pattern": [
        [
            "Y"
        ],
        [
            "X"
        ],
        [
            "X"
        ],
        [
            "X"
        ],
        [
            "0"
        ]
    ],
    "mapping": {
        "Y": "tfc:plant/banana_plant[stage=2,lifecycle=flowering]",
        "X": "tfc:plant/banana_plant[stage=1]",
        "0": "tfc:plant/banana_plant[stage=0]"
    }
}
{
    "pattern": [
        [
            "Y"
        ],
        [
            "X"
        ],
        [
            "X"
        ],
        [
            "X"
        ],
        [
            "0"
        ]
    ],
    "mapping": {
        "Y": "tfc:plant/banana_plant[stage=2,lifecycle=fruiting]",
        "X": "tfc:plant/banana_plant[stage=1]",
        "0": "tfc:plant/banana_plant[stage=0]"
    }
}

바나나 나무의 예시

큰 덤불

큰 덤불은 모든 방향으로 자라고 퍼지는 과일 식물입니다. 이들은 3칸까지 바로 위로 자라거나, 새로운 덤불로 자라는 가지를 뻗을 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난 후, 덤불은 퍼지기를 멈추고 성숙합니다. 이 덤불들을 날카로운 도구로 수확하면 새로운 덤불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완전히 성숙한 덤불은 항상 자기 자신을 떨어뜨립니다.

야생 덤불.

큰 덤불은 가지가 뿌리내릴 곳이 있을 때 퍼질 수 있습니다. 이는 하나의 덤불이 새로운 덤불을 만들기 위해서는 아래에 고체 블록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구조물이나 풀들이 없는 평평하고 트인 공간이 덤불이 퍼질 확률을 가장 높입니다.

덤불들은 과일 나무와 다르게 수화를 결정하기 위해 주변의 블록들을 확인합니다. 이 블록들은 오로지 강수량의 영향만 받습니다
모든 다 자란 덤불은 열매를 맺을 수 있으며, key.use을 눌러 수확할 수 있습니다.

블랙베리 덤불

기온: 7 - 24 °C
수화: 24 - 100 %

블랙베리 덤불은 나무가 적은 곳에서만 생성됩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
            "YZ"
        ],
        [
            "AZ"
        ],
        [
            "0 "
        ]
    ],
    "mapping": {
        "X": "tfc:plant/blackberry_bush[stage=0,lifecycle=dormant]",
        "Y": "tfc:plant/blackberry_bush[stage=1,lifecycle=dormant]",
        "Z": "tfc:plant/blackberry_bush_cane[stage=0,lifecycle=dormant,facing=south]",
        "A": "tfc:plant/blackberry_bush[stage=2,lifecycle=dormant]"
    }
}
{
    "pattern": [
        [
            "X "
        ],
        [
            "YZ"
        ],
        [
            "AZ"
        ],
        [
            "0 "
        ]
    ],
    "mapping": {
        "X": "tfc:plant/blackberry_bush[stage=0,lifecycle=healthy]",
        "Y": "tfc:plant/blackberry_bush[stage=1,lifecycle=healthy]",
        "Z": "tfc:plant/blackberry_bush_cane[stage=0,lifecycle=healthy,facing=south]",
        "A": "tfc:plant/blackberry_bush[stage=2,lifecycle=healthy]"
    }
}
{
    "pattern": [
        [
            "X "
        ],
        [
            "YZ"
        ],
        [
            "AZ"
        ],
        [
            "0 "
        ]
    ],
    "mapping": {
        "X": "tfc:plant/blackberry_bush[stage=0,lifecycle=flowering]",
        "Y": "tfc:plant/blackberry_bush[stage=1,lifecycle=flowering]",
        "Z": "tfc:plant/blackberry_bush_cane[stage=0,lifecycle=flowering,facing=south]",
        "A": "tfc:plant/blackberry_bush[stage=2,lifecycle=flowering]"
    }
}
{
    "pattern": [
        [
            "X "
        ],
        [
            "YZ"
        ],
        [
            "AZ"
        ],
        [
            "0 "
        ]
    ],
    "mapping": {
        "X": "tfc:plant/blackberry_bush[stage=0,lifecycle=fruiting]",
        "Y": "tfc:plant/blackberry_bush[stage=1,lifecycle=fruiting]",
        "Z": "tfc:plant/blackberry_bush_cane[stage=0,lifecycle=fruiting,facing=south]",
        "A": "tfc:plant/blackberry_bush[stage=2,lifecycle=fruiting]"
    }
}

퍼져가는 블랙베리 덤불의 계절별 변화

산딸기 덤불

기온: 5 - 25 °C
수화: 24 - 100 %

산딸기 덤불은 나무가 적은 곳에서만 생성됩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
            "YZ"
        ],
        [
            "AZ"
        ],
        [
            "0 "
        ]
    ],
    "mapping": {
        "X": "tfc:plant/raspberry_bush[stage=0,lifecycle=dormant]",
        "Y": "tfc:plant/raspberry_bush[stage=1,lifecycle=dormant]",
        "Z": "tfc:plant/raspberry_bush_cane[stage=0,lifecycle=dormant,facing=south]",
        "A": "tfc:plant/raspberry_bush[stage=2,lifecycle=dormant]"
    }
}
{
    "pattern": [
        [
            "X "
        ],
        [
            "YZ"
        ],
        [
            "AZ"
        ],
        [
            "0 "
        ]
    ],
    "mapping": {
        "X": "tfc:plant/raspberry_bush[stage=0,lifecycle=healthy]",
        "Y": "tfc:plant/raspberry_bush[stage=1,lifecycle=healthy]",
        "Z": "tfc:plant/raspberry_bush_cane[stage=0,lifecycle=healthy,facing=south]",
        "A": "tfc:plant/raspberry_bush[stage=2,lifecycle=healthy]"
    }
}
{
    "pattern": [
        [
            "X "
        ],
        [
            "YZ"
        ],
        [
            "AZ"
        ],
        [
            "0 "
        ]
    ],
    "mapping": {
        "X": "tfc:plant/raspberry_bush[stage=0,lifecycle=flowering]",
        "Y": "tfc:plant/raspberry_bush[stage=1,lifecycle=flowering]",
        "Z": "tfc:plant/raspberry_bush_cane[stage=0,lifecycle=flowering,facing=south]",
        "A": "tfc:plant/raspberry_bush[stage=2,lifecycle=flowering]"
    }
}
{
    "pattern": [
        [
            "X "
        ],
        [
            "YZ"
        ],
        [
            "AZ"
        ],
        [
            "0 "
        ]
    ],
    "mapping": {
        "X": "tfc:plant/raspberry_bush[stage=0,lifecycle=fruiting]",
        "Y": "tfc:plant/raspberry_bush[stage=1,lifecycle=fruiting]",
        "Z": "tfc:plant/raspberry_bush_cane[stage=0,lifecycle=fruiting,facing=south]",
        "A": "tfc:plant/raspberry_bush[stage=2,lifecycle=fruiting]"
    }
}

퍼져가는 산딸기 덤불의 계절별 변화

블루베리 덤불

기온: 7 - 29 °C
수화: 12 - 100 %

블루베리 덤불은 나무가 적은 곳에서만 생성됩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
            "YZ"
        ],
        [
            "AZ"
        ],
        [
            "0 "
        ]
    ],
    "mapping": {
        "X": "tfc:plant/blueberry_bush[stage=0,lifecycle=dormant]",
        "Y": "tfc:plant/blueberry_bush[stage=1,lifecycle=dormant]",
        "Z": "tfc:plant/blueberry_bush_cane[stage=0,lifecycle=dormant,facing=south]",
        "A": "tfc:plant/blueberry_bush[stage=2,lifecycle=dormant]"
    }
}
{
    "pattern": [
        [
            "X "
        ],
        [
            "YZ"
        ],
        [
            "AZ"
        ],
        [
            "0 "
        ]
    ],
    "mapping": {
        "X": "tfc:plant/blueberry_bush[stage=0,lifecycle=healthy]",
        "Y": "tfc:plant/blueberry_bush[stage=1,lifecycle=healthy]",
        "Z": "tfc:plant/blueberry_bush_cane[stage=0,lifecycle=healthy,facing=south]",
        "A": "tfc:plant/blueberry_bush[stage=2,lifecycle=healthy]"
    }
}
{
    "pattern": [
        [
            "X "
        ],
        [
            "YZ"
        ],
        [
            "AZ"
        ],
        [
            "0 "
        ]
    ],
    "mapping": {
        "X": "tfc:plant/blueberry_bush[stage=0,lifecycle=flowering]",
        "Y": "tfc:plant/blueberry_bush[stage=1,lifecycle=flowering]",
        "Z": "tfc:plant/blueberry_bush_cane[stage=0,lifecycle=flowering,facing=south]",
        "A": "tfc:plant/blueberry_bush[stage=2,lifecycle=flowering]"
    }
}
{
    "pattern": [
        [
            "X "
        ],
        [
            "YZ"
        ],
        [
            "AZ"
        ],
        [
            "0 "
        ]
    ],
    "mapping": {
        "X": "tfc:plant/blueberry_bush[stage=0,lifecycle=fruiting]",
        "Y": "tfc:plant/blueberry_bush[stage=1,lifecycle=fruiting]",
        "Z": "tfc:plant/blueberry_bush_cane[stage=0,lifecycle=fruiting,facing=south]",
        "A": "tfc:plant/blueberry_bush[stage=2,lifecycle=fruiting]"
    }
}

퍼져가는 블루베리 덤불의 계절별 변화

딱총나무 덤불

기온: 10 - 33 °C
수화: 12 - 100 %

산딸기 덤불은 나무가 적은 곳에서만 생성됩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
            "YZ"
        ],
        [
            "AZ"
        ],
        [
            "0 "
        ]
    ],
    "mapping": {
        "X": "tfc:plant/elderberry_bush[stage=0,lifecycle=dormant]",
        "Y": "tfc:plant/elderberry_bush[stage=1,lifecycle=dormant]",
        "Z": "tfc:plant/elderberry_bush_cane[stage=0,lifecycle=dormant,facing=south]",
        "A": "tfc:plant/elderberry_bush[stage=2,lifecycle=dormant]"
    }
}
{
    "pattern": [
        [
            "X "
        ],
        [
            "YZ"
        ],
        [
            "AZ"
        ],
        [
            "0 "
        ]
    ],
    "mapping": {
        "X": "tfc:plant/elderberry_bush[stage=0,lifecycle=healthy]",
        "Y": "tfc:plant/elderberry_bush[stage=1,lifecycle=healthy]",
        "Z": "tfc:plant/elderberry_bush_cane[stage=0,lifecycle=healthy,facing=south]",
        "A": "tfc:plant/elderberry_bush[stage=2,lifecycle=healthy]"
    }
}
{
    "pattern": [
        [
            "X "
        ],
        [
            "YZ"
        ],
        [
            "AZ"
        ],
        [
            "0 "
        ]
    ],
    "mapping": {
        "X": "tfc:plant/elderberry_bush[stage=0,lifecycle=flowering]",
        "Y": "tfc:plant/elderberry_bush[stage=1,lifecycle=flowering]",
        "Z": "tfc:plant/elderberry_bush_cane[stage=0,lifecycle=flowering,facing=south]",
        "A": "tfc:plant/elderberry_bush[stage=2,lifecycle=flowering]"
    }
}
{
    "pattern": [
        [
            "X "
        ],
        [
            "YZ"
        ],
        [
            "AZ"
        ],
        [
            "0 "
        ]
    ],
    "mapping": {
        "X": "tfc:plant/elderberry_bush[stage=0,lifecycle=fruiting]",
        "Y": "tfc:plant/elderberry_bush[stage=1,lifecycle=fruiting]",
        "Z": "tfc:plant/elderberry_bush_cane[stage=0,lifecycle=fruiting,facing=south]",
        "A": "tfc:plant/elderberry_bush[stage=2,lifecycle=fruiting]"
    }
}

퍼져가는 딱총나무 덤불의 계절별 변화

작은 덤불

작은 덤불은 숲에서 생성되는 작은 과일 식물입니다. 때때로 작은 덤불은 주변 블록으로 자신을 복제하며 퍼집니다. key.use을 눌러 수확할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bunchberry_bush[lifecycle=dormant,stage=0]"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bunchberry_bush[lifecycle=healthy,stage=0]"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bunchberry_bush[lifecycle=flowering,stage=0]"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bunchberry_bush[lifecycle=fruiting,stage=0]"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bunchberry_bush[lifecycle=dormant,stage=1]"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bunchberry_bush[lifecycle=healthy,stage=1]"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bunchberry_bush[lifecycle=flowering,stage=1]"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bunchberry_bush[lifecycle=fruiting,stage=1]"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bunchberry_bush[lifecycle=dormant,stage=2]"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bunchberry_bush[lifecycle=healthy,stage=2]"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bunchberry_bush[lifecycle=flowering,stage=2]"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bunchberry_bush[lifecycle=fruiting,stage=2]"
    }
}

산딸나무 덤불
기온: 15 - 35 °C
수화: 24 - 100 %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gooseberry_bush[lifecycle=dormant,stage=0]"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gooseberry_bush[lifecycle=healthy,stage=0]"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gooseberry_bush[lifecycle=flowering,stage=0]"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gooseberry_bush[lifecycle=fruiting,stage=0]"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gooseberry_bush[lifecycle=dormant,stage=1]"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gooseberry_bush[lifecycle=healthy,stage=1]"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gooseberry_bush[lifecycle=flowering,stage=1]"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gooseberry_bush[lifecycle=fruiting,stage=1]"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gooseberry_bush[lifecycle=dormant,stage=2]"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gooseberry_bush[lifecycle=healthy,stage=2]"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gooseberry_bush[lifecycle=flowering,stage=2]"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gooseberry_bush[lifecycle=fruiting,stage=2]"
    }
}

구스베리 덤불
기온: 5 - 27 °C
수화: 24 - 100 %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snowberry_bush[lifecycle=dormant,stage=0]"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snowberry_bush[lifecycle=healthy,stage=0]"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snowberry_bush[lifecycle=flowering,stage=0]"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snowberry_bush[lifecycle=fruiting,stage=0]"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snowberry_bush[lifecycle=dormant,stage=1]"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snowberry_bush[lifecycle=healthy,stage=1]"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snowberry_bush[lifecycle=flowering,stage=1]"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snowberry_bush[lifecycle=fruiting,stage=1]"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snowberry_bush[lifecycle=dormant,stage=2]"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snowberry_bush[lifecycle=healthy,stage=2]"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snowberry_bush[lifecycle=flowering,stage=2]"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snowberry_bush[lifecycle=fruiting,stage=2]"
    }
}

인동딸기 덤불
기온: -7 - 18 °C
수화: 24 - 100 %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cloudberry_bush[lifecycle=dormant,stage=0]"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cloudberry_bush[lifecycle=healthy,stage=0]"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cloudberry_bush[lifecycle=flowering,stage=0]"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cloudberry_bush[lifecycle=fruiting,stage=0]"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cloudberry_bush[lifecycle=dormant,stage=1]"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cloudberry_bush[lifecycle=healthy,stage=1]"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cloudberry_bush[lifecycle=flowering,stage=1]"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cloudberry_bush[lifecycle=fruiting,stage=1]"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cloudberry_bush[lifecycle=dormant,stage=2]"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cloudberry_bush[lifecycle=healthy,stage=2]"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cloudberry_bush[lifecycle=flowering,stage=2]"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cloudberry_bush[lifecycle=fruiting,stage=2]"
    }
}

진들딸기 덤불
기온: -2 - 17 °C
수화: 9 - 100 %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strawberry_bush[lifecycle=dormant,stage=0]"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strawberry_bush[lifecycle=healthy,stage=0]"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strawberry_bush[lifecycle=flowering,stage=0]"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strawberry_bush[lifecycle=fruiting,stage=0]"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strawberry_bush[lifecycle=dormant,stage=1]"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strawberry_bush[lifecycle=healthy,stage=1]"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strawberry_bush[lifecycle=flowering,stage=1]"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strawberry_bush[lifecycle=fruiting,stage=1]"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strawberry_bush[lifecycle=dormant,stage=2]"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strawberry_bush[lifecycle=healthy,stage=2]"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strawberry_bush[lifecycle=flowering,stage=2]"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strawberry_bush[lifecycle=fruiting,stage=2]"
    }
}

딸기 덤불
기온: 5 - 28 °C
수화: 12 - 100 %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wintergreen_berry_bush[lifecycle=dormant,stage=0]"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wintergreen_berry_bush[lifecycle=healthy,stage=0]"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wintergreen_berry_bush[lifecycle=flowering,stage=0]"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wintergreen_berry_bush[lifecycle=fruiting,stage=0]"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wintergreen_berry_bush[lifecycle=dormant,stage=1]"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wintergreen_berry_bush[lifecycle=healthy,stage=1]"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wintergreen_berry_bush[lifecycle=flowering,stage=1]"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wintergreen_berry_bush[lifecycle=fruiting,stage=1]"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wintergreen_berry_bush[lifecycle=dormant,stage=2]"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wintergreen_berry_bush[lifecycle=healthy,stage=2]"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wintergreen_berry_bush[lifecycle=flowering,stage=2]"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wintergreen_berry_bush[lifecycle=fruiting,stage=2]"
    }
}

가울테리아 덤불
기온: -6 - 17 °C
수화: 12 - 100 %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cranberry_bush[lifecycle=dormant,stage=0]"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cranberry_bush[lifecycle=healthy,stage=0]"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cranberry_bush[lifecycle=flowering,stage=0]"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cranberry_bush[lifecycle=fruiting,stage=0]"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cranberry_bush[lifecycle=dormant,stage=1]"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cranberry_bush[lifecycle=healthy,stage=1]"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cranberry_bush[lifecycle=flowering,stage=1]"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cranberry_bush[lifecycle=fruiting,stage=1]"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cranberry_bush[lifecycle=dormant,stage=2]"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cranberry_bush[lifecycle=healthy,stage=2]"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cranberry_bush[lifecycle=flowering,stage=2]"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lant/cranberry_bush[lifecycle=fruiting,stage=2]"
    }
}

크랜베리
기온: -5 - 17 °C
크랜베리 덤불은 물 속에서만 자랍니다.

야생동물

TerraFirmaCraft의 세상은 동물들로 가득합니다. 몇몇 동물들은 도움이 되지만, 다른 동물들은 매우 위험합니다. 이 단락은 야생동물에 관한 것입니다. 당신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생물과 동물들에 대해서는 축산업 페이지를 확인하세요.

동물들은 포식자, 피식자, 그리고 수생 동물들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다음 페이지에서는 각각의 동물 분류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포식자

포식자는 플레이어를 공격할 수 있는 동물입니다. 그들은 밤에만 사냥하는 야행성이거나, 낮에만 사냥하는 주행성입니다. 포식자들은 최근에 먹잇감을 사냥했는지에 따라 중립적이거나 공격적입니다. 포식자들은 방어하는 자신의 영역이 있으므로 충분히 멀리 도망친다면 그들은 당신을 쫓는 대신 자신의 영역으로 돌아갈 것입니다.

엔티티: 북극곰 (Polar Bear)

The polar bear spawns in only the coldest regions, temperature at most 10°C, with a rainfall of at least 100mm.

엔티티: 회색곰 (Grizzly Bear)

The grizzly bear spawns in forests of moderate climates, with a temperature range of -15 to 15°C and at least 200mm of rainfall.

엔티티: 흑곰 (Black Bear)

The black bear spawns in forests of warmer, wetter climates, of temperature 5 to 20°C and at least 250mm of rainfall.

엔티티: 퓨마 (Cougar)

The cougar prefers most moderate climates, with temperature from -10 to 21°C and at least 150mm of rainfall.

엔티티: 표범 (Panther)

The panther prefers most moderate climates, with temperature from -10 to 21°C and at least 150mm of rainfall.

엔티티: 사자 (Lion)

The lion spawns in plains with an average temperature of at least 16°C, and rainfall between 50 and 300mm.

엔티티: 검치호 (Sabertooth)

The sabertooth spawns at any temperature above 0°C, and any rainfall above 250mm.

엔티티: Wolf

The wolf spawns at any temperature below 22°C, and rainfall between 150 and 420mm. They hunt in packs. Feeding a wolf enough times will tame it into a Dog.

엔티티: Ocelot

Although the ocelot does not attack players, it can attack small animals. It spawns at any temperature above 15 and below 30°C, and rainfall between 300 and 500mm, in forests. Feeding an ocelot enough times will tame it into a Cat.

피식자

피식자 동물들은 플레이어와 포식자 동물들을 두려워합니다. 그들은 위험을 잘 피하지만, 반격하지는 못합니다. 일부 피식자 동물들은 농작물 먹기를 좋아합니다.

엔티티: 멧돼지 (Boar)

The boar spawns in plains with temperature below 25°C and above -5°C, and rainfall between 130 and 400mm.

엔티티: 토끼 (Rabbit)

The rabbit is known to chew on carrots and cabbage. They are ubiquitous in the world, changing their coat based on climate. They only need 15mm of rainfall to spawn.

엔티티: 여우 (Fox)

The fox likes to eat the berries off of bushes. It can be found in forests with temperature below 25°C, and rainfall between 130 and 400mm.

엔티티: Deer

The deer spawns at any temperature below 25°C and above -15°C, and rainfall between 130 and 400mm.

엔티티: Moose

The moose spawns at any temperature below 10°C and above -15°C, and rainfall between 150 and 300mm.

수생 동물

수생 동물들은 여러 다른 종류를 포함하는 넓은 분류입니다. 수생 동물에는 해안 생물, 물고기, 갑각류, 또는 거대 해양 생물 등이 있습니다.

해안 생물은 해안에만 생성되며 낮에는 잠시 물에서 지내고, 다시 해안으로 돌아오기도 합니다. 해안 생물들은 호기심이 많아서 플레이어를 따라다니지만, 길들일 수는 없습니다.

엔티티: 펭귄 (Penguin)

The penguin spawns in only the coldest beaches, with temperature of at most -14°C and rainfall of at least 75mm.

엔티티: 거북 (Turtle)

The sea turtle likes warm water. It spawns in temperature of at least 21°C and rainfall of at least 250mm.

물고기

물고기는 물에서 헤엄치는 작은 생물입니다. 대부분은 낚시할 수 있습니다. 각각 바다, 강, 호수를 사는 종류가 있습니다.

엔티티: 대구 (Cod)

Cod prefer colder oceans, temperature at most 18°C. They can be fished.

엔티티: 복어 (Pufferfish)

Pufferfish live in any ocean with at least a temperature of 10°C.

엔티티: 해파리 (Jellyfish)

Jellyfish live in warmer oceans, with a temperature of at least 18°C.

엔티티: 열대어 (Tropical Fish)

Tropical fish prefer warmer oceans, with a temperature of at least 18°C.

엔티티: 연어 (Salmon)

Salmon spawn in any river or lake with a temperature of at least -5°C.

엔티티: 블루길 (Bluegill)

Bluegill spawn in any river or lake with a temperature of at least -10°C and at most 26°C.

갑각류

갑각류는 물 속 바닥에 사는 동물들입니다. 낚시할 수는 없지만, 먹거나 플럭스를 만들 수 있는 껍데기를 떨어뜨립니다. 갑각류는 낚시용 미끼가 될 수 있습니다.

엔티티: 등각류 (Isopod)

Isopods spawn in deeper sections of oceans of temperature at most 14°C.

엔티티: 바닷가재 (Lobster)

Lobster spawn in any ocean that is at most of a temperature of 21°C.

엔티티: 민물가재 (Crayfish)

Crayfish are like lobster, but spawn in rivers and lakes. They need a temperature of at least 5°C and a rainfall of at least 125mm.

엔티티: 투구게 (Horseshoe Crab)

Horseshoe crabs spawn in oceans of moderate climate, temperature between 10 and 21°C and with a rainfall of at most 400mm.

거대 해양 생물

거대 해양 생물은 더 넓은 물에 사는 큰 동물입닏. 그 중 일부는 물고기를 먹기도 합니다. 이들은 등불의 연료로 쓰일 수 있는 고래기름을 떨어뜨립니다.

엔티티: 범고래 (Orca)

Orca whales live in deep oceans with temperature of at most 19°C and rainfall of at least 100mm.

엔티티: 돌고래 (Dolphin)

Dolphins live in deep oceans with temperature of at least 10°C and rainfall of at least 200mm.

엔티티: 매너티 (Manatee)

Manatees live in any warm lake, with temperature of at least 20°C and rainfall of at most 300mm.

오징어

오징어는 깊은 바다에 생성됩니다. 오징어는 먹물 주머니를 떨어뜨리고 플레이어가 가까이 접근하면 먹물을 뿜습니다. 누군가는 깊고 험한 동굴에 사는 오징어는 특이한 특징을 가진다고 합니다.

시작하기

TerraFirmaCraft의 세계에서 살아남는 법, 석기 시대에서 살아남고 곡괭이를 처음 만드는 법.

소개

TerraFirmaCraft에서 당신이 처음으로 얻을 수 있는 것들은 막대기, 잔가지 그리고 돌멩이입니다. 이것들은 거의 모든 기후에서 바닥에 널브러진 채로 찾을 수 있습니다. key.use을 누르거나 부수면 이 아이템들을 주워들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예시

{
    "pattern": [
        [
            "1    ",
            " 2  4",
            "  03 ",
            " 4   ",
            "    5"
        ],
        [
            "GGGGG",
            "GGGGG",
            "GGGGG",
            "GGGGG",
            "GGGGG"
        ]
    ],
    "mapping": {
        "G": "tfc:grass/sandy_loam",
        "1": "tfc:rock/loose/granite[count=1]",
        "2": "tfc:rock/loose/granite[count=2]",
        "3": "tfc:rock/loose/granite[count=3]",
        "4": "tfc:groundcover/stick",
        "5": "tfc:wood/twig/ash"
    }
}

바닥에 흩어진 막대기와 돌멩이들.

막대기는 바닥에서 줍는 것 외에도 나뭇잎을 맨손으로 부수어도 얻을 수 있습니다. 충분한 양의 돌과 막대기를 얻었다면, 돌을 수 있습니다. 떼기는 돌 2개를 맞부딪쳐서 특정한 형태를 만드는 과정입니다. 돌을 떼려면 2개 이상의 돌을 손에 쥔 상태로 공기에 대고 key.use을 누르세요. 그러면 떼기 인터페이스가 열리게 됩니다.

떼기 인터페이스.

특정 아이템을 만들기 위해서는 사각형들을 지워서 특정 모양을 만들어야 합니다. 예를 들면, 칼 날을 만들기 위해서는 오른쪽의 모양을 만들면 됩니다.

제작대와 같이, 패턴의 위치는 결과물과 관련이 없으며 특정 제작법으로는 여러 개의 결과물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TFC 제작법:
tfc:rock_knapping/knife_head_sedimentary
tfc:rock_knapping/knife_head_metamorphic
tfc:rock_knapping/knife_head_igneous_extrusive
tfc:rock_knapping/knife_head_igneous_intrusive

여러 다양한 종류의 돌로 만들 수 있는 칼 날.

제작: tfc:crafting/stone/knife_sedimentary

All stone tool heads can be crafted with a stick or twig to assemble them into a tool.

The stone knife can be used to harvest Straw by breaking plants.

TFC 제작법:
tfc:rock_knapping/axe_head_sedimentary
tfc:rock_knapping/axe_head_metamorphic
tfc:rock_knapping/axe_head_igneous_extrusive
tfc:rock_knapping/axe_head_igneous_intrusive

Axes can be used to cut down entire trees, logs and leaves included. However, saplings and sticks will only be obtained if leaves were broken individually.

TFC 제작법:
tfc:rock_knapping/shovel_head_sedimentary
tfc:rock_knapping/shovel_head_metamorphic
tfc:rock_knapping/shovel_head_igneous_extrusive
tfc:rock_knapping/shovel_head_igneous_intrusive

Shovels can be used to dig soil type blocks. They can also be used to create Paths by using them on Dirt or Grass.

TFC 제작법:
tfc:rock_knapping/hoe_head_sedimentary
tfc:rock_knapping/hoe_head_metamorphic
tfc:rock_knapping/hoe_head_igneous_extrusive
tfc:rock_knapping/hoe_head_igneous_intrusive

Hoes are useful tools for Farming, but they can also be used to cut down leaves and other plant matter.

TFC 제작법:
tfc:rock_knapping/hammer_head_sedimentary
tfc:rock_knapping/hammer_head_metamorphic
tfc:rock_knapping/hammer_head_igneous_extrusive
tfc:rock_knapping/hammer_head_igneous_intrusive

Hammers can be used as Crushing weapons, but are more important tools used for Forging.

TFC 제작법:
tfc:rock_knapping/javelin_head_sedimentary
tfc:rock_knapping/javelin_head_metamorphic
tfc:rock_knapping/javelin_head_igneous_extrusive
tfc:rock_knapping/javelin_head_igneous_intrusive

Finally, a Javelin can be used as a primitive weapon, capable of being thrown at targets, or used as a Piercing weapon.

최초의 불

은 중요한 기술적 발전입니다. 불을 피우기 위해서는 불피우개가 필요합니다. 불피우개를 사용하려면 간단히 key.use을 땅에 대고 꾹 누르면 됩니다. 잠시 기다리면, 연기가 나며 불이 피워집니다. 불을 성공적으로 피우기 위해서는 몇 번 다시 시도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제작: tfc:crafting/firestarter

불피우개는 막대기 2개로 만들 수 있습니다.

모닥불

불피우개를 사용하면 모닥불을 만들 수 있습니다. 모닥불을 만들려면 원목, 하나 막대기 3개, 그리고 필수는 아니나 불쏘시개 3개가 필요합니다. 불쏘시개는 종이나 짚, 다른 아이템들이 될 수 있으며 모닥불이 만들어질 확률을 높여줍니다. 모든 아이템들을 key.drop 키를 눌러 하나의 블록 위에 던지고, 불쏘시개를 해당 블록 위에 사용하세요.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firepit[lit=true]"
    }
}

성공했다면 모닥불이 만들어집니다.

모닥불을 사용하면 모닥불 화면이 열립니다. 왼쪽은 4개의 연료 슬롯입니다. 나무, 이탄, 막대기 더미를 맨 위의 슬롯에 넣어서 모닥불 연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연료는 맨 아래의 슬롯부터 타오릅니다. 옆에 모닥불의 온도를 표시하는 게이지가 있고, 오른쪽에는 가열되는 아이템들이 있습니다.

모닥불 화면

TFC 제작법: tfc:heating/torch_from_stick

모닥불로 아이템을 가열하면 많은 유용한 아이템이 만들어집니다. 막대기를 가열하면 횃불이 만들어집니다. 횃불은 결국 꺼지기 때문에 불피우개를 사용해서 다시 켜거나 새로운 횃불을 설치해야 합니다.

TFC 제작법: tfc:heating/cod

모닥불은 음식을 요리하기도 좋습니다. 모든 날고기와 반죽들은 모닥불에서 익힐 수 있고, 익히면 상하기까지 남은 기간이 늘어납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모닥불은 을 이용하여 끌 수 있습니다.

모닥불에 다른 장치들을 사용하면 기능을 늘릴 수 있습니다. 연철 석쇠은 모닥불을 석쇠로, 도자기 냄비냄비로 바꾸며. 장치들을 제거하려면, key.sneak 키를 눌러 웅크리며 key.use을 누르세요. 뜨거운 석쇠나 냄비를 제거하지 않도록 조심하세요!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firepit"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grill"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ot"
    }
}

석쇠나 냄비가 추가된 모닥불.

Firepit fuels have different levels of purity. Adding impure fuels to fires makes them more smokey. If the fire burns very impurely, smoke will start to fly very high in the air. The most pure fuels are logs, with pine being the least pure log. Fuels like pinecones and fallen leaves do not hot enough to do much cooking, and are very impure.

도자기

점토는 굉장히 유용한 균형 잡힌 재료로, 도자기를 만드는 데 쓰일 수 있습니다. 점토를 처음으로 찾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닐 수 있습니다. 점토는 일반적으로 잔디에 가려져 있지만, 다음의 장소에서 주로 발견됩니다. 연 강수량이 175mm 이상인 곳에서는 점토를 어디서나 찾을 수 있지만, 보통 특정 식물이 점토의 위치를 나타냅니다.

멀티블록: 점토 표지 식물

{
    "pattern": [
        [
            "   ",
            " C ",
            "   "
        ],
        [
            "XXX",
            "X0X",
            "XXX"
        ]
    ],
    "mapping": {
        "0": "tfc:clay_grass/sandy_loam",
        "X": "tfc:clay_grass/sandy_loam",
        "C": "#tfc:clay_indicators"
    }
}

점토 표지 식물의 아래에 있는 점토.

개고사리, 칸나, 미역취, 팜파스풀, 러시안세이지, 그리고 물칸나는 모두 근처에 점토가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점토는 보통 강이나 호수, 연못 등 물 근처에서 발견됩니다.

돌멩이와 같이, 점토는 쳐서 새로운 아이템을 만들 수 있습니다. 점토를 치기 위해서는 5개의 점토가 필요합니다. 돌멩이와는 달리, 만약 실수한다면 창을 닫았다 열어서 다시 처음으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떼기 인터페이스.

작은 항아리

작은 항아리는 다른 도자기 아이템들과 같이 구워져야 합니다. 점토를 굽는 것은 점토가 단단한 도자기으로 변할 때까지 가열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1200°C노랑까지 온도를 올려야 합니다.

초반의 게임에서 이 온도를 달성하기 위해, 당신에게는 구덩이 가마가 필요할 것입니다.

TFC 제작법: tfc:clay_knapping/vessel

점토로 작은 항아리를 만드는 방법.

주전자

또 다른 유용한 도자기 아이템은 주전자입니다. 주전자로는 민물과 같은 액체를 담아서 마실수 있습니다.

주전자를 사용하려면 단순히 액체 블록에 대고 key.use을 누르면 됩니다. 그 후에 주전자를 사용하면 마실 수 있습니다. 주전자에는 액체를 100 mB까지 담을 수 있습니다.

TFC 제작법: tfc:clay_knapping/jug

점토로 주전자를 만드는 방법.

금형

점토는 또한 금형을 만들기 위해서도 필요합니다. 금형에는 녹은 금속을 부어 금형의 모양대로 굳힐 수 있습니다. 아이템은 (그리고 운이 좋다면 금형도) key.use을 눌러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가장 간단한 금형은 오른쪽에 있는 주괴 금형입니다.

TFC 제작법: tfc:clay_knapping/ingot_mold

점토로 주괴 금형을 만드는 방법.

TFC 제작법: tfc:heating/ingot_mold

금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른 도자기 아이템들과 같이 구덩이 가마 등지에서 구워야 합니다.

금형을 구우면 녹은 금속을 안에 부을 수 있습니다. 금속이 충분히 식은 후에는 금형에서 다시 꺼낼 수 있습니다.

주조

아이템: 주괴 금형 (Ingot Mold)
아이템: "FluidName":"tfc:metal/copper"}}

다음 페이지에서는 다양한 도구를 만들기 위한 점토 제작법을 보여줍니다.

TFC 제작법: tfc:clay_knapping/propick_head_mold

탐색기는 많은 양의 광석을 찾기 위해서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TFC 제작법: tfc:clay_knapping/pickaxe_head_mold

곡괭이 입니다! 채굴과 떼려야 뗄 수 없는 도구이죠.

TFC 제작법: tfc:clay_knapping/saw_blade_mold

작업대지지대와 같은 많은 목제 장치를 만드는 데 필요한 도구입니다.

TFC 제작법: tfc:clay_knapping/scythe_blade_mold

은 3x3x3 공간 주변의 식물과 나뭇잎을 제거하는 도구입니다!

TFC 제작법: tfc:clay_knapping/chisel_head_mold

은 블록들을 다듬고 많은 장식 블록을 만들 수 있는 도구입니다.

TFC 제작법: tfc:clay_knapping/axe_head_mold

도끼는 나무를 베어버리는 도구입니다. 참고: 돌 도끼는 금속 도끼보다 효율이 더 낮습니다!

TFC 제작법: tfc:clay_knapping/hammer_head_mold

망치모루를 만들고 사용하기 위한 도구입니다.

TFC 제작법: tfc:clay_knapping/knife_blade_mold

은 무기로 사용되거나, 식물을 자르는 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TFC 제작법: tfc:clay_knapping/hoe_head_mold

괭이작물을 심고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TFC 제작법: tfc:clay_knapping/shovel_head_mold

은 오로지 땅을 파기 위해 존재하는 도구입니다.

구덩이 가마

구덩이 가마는 게임 초반에 아이템을 가열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예를 들면, 구덩이 가마는 점토를 도자기으로 구울 수 있습니다. 구덩이 가마는 약 8시간동안 아이템을 최대 1600°C밝은 하양까지 데웁니다.

구덩이 가마를 만들기 위해서 필요한 것:

  • 가열할 아이템 (최대 4개)
  • 8개의
  • 8개의 원목
  • 불피우개횃불과 같은 불을 피우기 위한 아이템

참고: 횃불로 구덩이 가마에 불을 피우기 위해서는 간단히 횃불을 위에 던져 두고 몇 초간 기다리면 됩니다.

구덩이 가마를 만드는 방법:

1. 한 칸짜리 구멍에 tfc.key.place_block 키를 눌러 아이템을 배치합니다.
2. 8개의 을 아이템이 모두 덮일 때까지 추가합니다.
3. 8개의 원목을 가득 찰 때까지 추가합니다.
4. 가마 위에 불을 지피세요!

구덩이 가마는 느리게 아이템을 가열하면서 8시간동안 불탑니다.

튜토리얼: 구덩이 가마 만들기.

광석, 금속 그리고 주조

당신은 막대기, 잔가지나 돌멩이 말고도 땅에 굴러다니는 작은 광석 조각들을 마주칠 지도 모릅니다. 이 광석들은 당신이 곡괭이를 만들기 전까지는 유일하게 얻을 수 있는 금속과 광석이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    ",
            "  0 ",
            "    "
        ],
        [
            "ABCD",
            "EFGH",
            "IJKL"
        ],
        [
            "XXXX",
            "XXXX",
            "XXXX"
        ]
    ],
    "mapping": {
        "X": "tfc:grass/loam",
        "A": "tfc:ore/small_native_copper",
        "B": "tfc:ore/small_native_gold",
        "C": "tfc:ore/small_hematite",
        "D": "tfc:ore/small_native_silver",
        "E": "tfc:ore/small_cassiterite",
        "F": "tfc:ore/small_bismuthinite",
        "G": "tfc:ore/small_garnierite",
        "H": "tfc:ore/small_malachite",
        "I": "tfc:ore/small_magnetite",
        "J": "tfc:ore/small_limonite",
        "K": "tfc:ore/small_sphalerite",
        "L": "tfc:ore/small_tetrahedrite"
    }
}

모든 작은 광석 조각

이 작은 광석 조각들은 두 가지 역할을 합니다: 금속을 만들 수 있고, 더 중요하게는 땅 아래 어딘가에 큰 광맥이 어딘가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광석을 찾은 곳을 메모해두면 나중에 광맥을 탐사할 때 분명 도움이 될 것입니다.

다음 페이지에는 12가지 종류의 작은 광석과 광석을 녹여서 만들 수 있는 금속이 있습니다.

작은 광석들

  • 자연동 (구리)
  • 자연금 ()
  • 적철석 (주철)
  • 자연은 ()
  • 주석석 (주석)
  • 휘창연석 (비스무트)
  • 규니켈석 (니켈)
  • 공작석 (구리)
  • 자철석 (주철)
  • 갈철석 (주철)
  • 섬아연석 (아연)
  • 사면동석 (구리)

주조

TerraFirmaCraft에서, 광석들은 각각 실제로 금속을 추출할 수 있는 유닛 (mB: 밀리버킷)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작은 광석들은 지표면에서 찾을 수 있고 품질이 가장 나빠 10 mB의 금속밖에 얻을 수 없습니다. 이 금속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광석을 녹여야 하며, 주조를 통해 도구로 만들 수 있습니다.

주조에 필요한 것:

참고: 주조는 합금으로도 할 수 있습니다

일단, 작은 항아리를 열어 광석을 안에 넣으세요. 광석 속의 금속의 총량을 신중하게 세세요! 그리고, 당신은 구덩이 가마를 만들고 안에 작은 항아리를 넣어야 합니다. 작은 항아리가 가열되면, 그 안의 광석들은 녹고 녹은 금속으로 채워진 작은 항아리가 나옵니다.

작은 항아리를 꺼내고 key.use를 눌러 주조 인터페이스를 열 수 있습니다.

주조 인터페이스.

주조 인터페이스를 열고, 빈 금형을 중앙의 슬롯에 놓으세요. 작은 항아리가 비어 있지 않다면 금형이 차오릅니다. (만약 작은 항아리가 굳어 버린다면, 다시 구덩이 가마로 가열할 수 있습니다.) 금형이 가득 차면, 슬롯에서 제거하고 식혀야 합니다. 금형이 식은 후에는 금형을 웅크리고 클릭하거나 조합창에 올려놓아 내용물을 빼낼 수 있습니다.

제작: tfc:crafting/metal/pickaxe/copper

도구 머리가 있으면 첫 곡괭이를 만들 수 있습니다! 구리를 충분히 모아서 구덩이 가마에 녹이고, 금형에 담아 주조한 다음 막대기와 조합하면 완성!

기초 합금

합금은 2개 이상의 금속을 섞어서 더 강한 새로운 금속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게임 초반에 구리는 유용한 금속이기는 하지만, 다음 티어의 금속은 3가지 종류의 구리 합금입니다. 합금은 여러 금속들로 구성되고, 각각의 금속의 비율은 전체 중 특정 비율을 만족해야 합니다.

게임 초반에 합금을 제작하는 법 중 하나는 작은 항아리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이 과정은 주조와 유사합니다. 다만 한 종류의 금속만을 사용하는 게 아닌, 비율을 맞춰 충분한 양의 금속 광석들을 작은 항아리 안에 넣음으로써 합금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

For example, to create 1000 mB of Bronze (shown to the right), you would need between 880 and 920 mB of Copper, and between 80 and 120 mB of Tin.

The next three pages show the recipes of the three bronzes. Each type of bronze can be used to make tools, Armor, and other metal items. They are slightly different so resulting tools will have different durability, efficiency, and attack damage.

청동

아이템: 청동 주괴 (Bronze Ingot)

합금 비율:

  • 88 - 92% : 구리
  • 8 - 12% : 주석

비스무트 청동

아이템: 비스무트 청동 주괴 (Bismuth Bronze Ingot)

합금 비율:

  • 20 - 30% : 아연
  • 50 - 65% : 구리
  • 10 - 20% : 비스무트

헤파티존

아이템: 헤파티존 주괴 (Black Bronze Ingot)

합금 비율:

  • 50 - 70% : 구리
  • 10 - 25% :
  • 10 - 25% :

기초적인 모루

더 높은 티어의 금속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직접 금형에 주조하는 것이 아니라, 모루를 사용해야 합니다. 모루는 단조용접, 2가지 종류의 일을 할 수 있는 블록입니다. 이 챕터에서는 최초의 기초적인 돌 모루를 만드는 법을 보여줍니다.

일단, 화산암 (유문암, 현무암, 안산암, 석영안산암)이나 심성암 (화강암, 섬록암, 반려암) 블록이 필요합니다. 세계에 있는 블록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주변에서 돌 블록을 추출할 수 있습니다.

돌 모루

모루를 만들기 위해서는 또한 아무 종류의 망치가 필요합니다. 돌 블록의 위쪽 면을 망치로 클릭하면 모루가 만들어집니다!

모루는 각각 티어를 가지고 있고, 돌 모루는 가장 낮은 티어인 0티어입니다. 돌 모루로는 1티어 금속들을 용접하는 일 밖에 할 수 없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 0 "
        ],
        [
            "RRR"
        ]
    ],
    "mapping": {
        "0": "AIR",
        "R": "tfc:rock/raw/gabbro"
    }
}
"tfc:rock_anvil"

중앙의 돌 블록을 모루로 바꾸는 장면

돌 블록 얻기

조약돌로 쪼개지 않고 돌 그대로의 블록을 얻으려면, 블록을 추출해야 합니다. 하나의 블록과 닿아 있는 6개의 면을 모두 제거하면 당신이 들고 옮길 수 있는 돌 블록이 떨어집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   ",
            " R ",
            "   "
        ],
        [
            " R ",
            "RRR",
            " R "
        ],
        [
            "   ",
            " 0 ",
            "   "
        ]
    ],
    "mapping": {
        "0": "tfc:rock/raw/gabbro",
        "R": "tfc:rock/raw/gabbro"
    }
}
{
    "pattern": [
        [
            "   ",
            "   ",
            "   "
        ],
        [
            " R ",
            "RRR",
            " R "
        ],
        [
            "   ",
            " 0 ",
            "   "
        ]
    ],
    "mapping": {
        "0": "tfc:rock/raw/gabbro",
        "R": "tfc:rock/raw/gabbro"
    }
}
{
    "pattern": [
        [
            "   ",
            "   ",
            "   "
        ],
        [
            "   ",
            "RRR",
            " R "
        ],
        [
            "   ",
            " 0 ",
            "   "
        ]
    ],
    "mapping": {
        "0": "tfc:rock/raw/gabbro",
        "R": "tfc:rock/raw/gabbro"
    }
}
{
    "pattern": [
        [
            "   ",
            "   ",
            "   "
        ],
        [
            "   ",
            " RR",
            " R "
        ],
        [
            "   ",
            " 0 ",
            "   "
        ]
    ],
    "mapping": {
        "0": "tfc:rock/raw/gabbro",
        "R": "tfc:rock/raw/gabbro"
    }
}
{
    "pattern": [
        [
            "   ",
            "   ",
            "   "
        ],
        [
            "   ",
            " RR",
            "   "
        ],
        [
            "   ",
            " 0 ",
            "   "
        ]
    ],
    "mapping": {
        "0": "tfc:rock/raw/gabbro",
        "R": "tfc:rock/raw/gabbro"
    }
}
{
    "pattern": [
        [
            "   ",
            "   ",
            "   "
        ],
        [
            "   ",
            " R ",
            "   "
        ],
        [
            "   ",
            " 0 ",
            "   "
        ]
    ],
    "mapping": {
        "0": "tfc:rock/raw/gabbro",
        "R": "tfc:rock/raw/gabbro"
    }
}
{
    "pattern": [
        [
            "   ",
            "   ",
            "   "
        ],
        [
            "   ",
            " R ",
            "   "
        ],
        [
            "   ",
            " 0 ",
            "   "
        ]
    ],
    "mapping": {
        "0": "AIR",
        "R": "tfc:rock/raw/gabbro"
    }
}

돌 블록의 6면을 모두 제거하기. 제거한 후에는 블록이 아이템으로 떨어집니다.

건축 블록

In the early stages of the game, building can be a challenge as many sturdy building blocks require metal tools to obtain. However, there are a few building blocks that can be obtained with just stone tools.

More building blocks are obtainable with metal tools.

내용

  1. Thatch
  2. Mud Bricks
  3. Wattle and Daub
  4. Clay Blocks and Peat

Thatch

With just a Stone Knife, you are able to obtain Straw by breaking plant like blocks. This can be used to craft a very simple building material: Thatch. Thatch is a lightweight block that isn't affected by gravity, however players and other entities can pass right through it! It can also be crafted back into Straw if needed.

제작: tfc:crafting/thatch

제작: tfc:crafting/straw

진흙 벽돌

제작: tfc:crafting/soil/loam_drying_bricks

진흙은 땅 위에서나 강과 호수 바닥, 또는 늪지대의 낮은 곳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점토와 이 있다면 젖은 진흙 벽돌을 만들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drying_bricks/loam[count=4,dried=false]",
        "Y": "tfc:grass/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drying_bricks/loam[count=4,dried=true]",
        "Y": "tfc:grass/loam"
    }
}

이 벽돌들을 마른 땅에 올려놓은 후, 하루가 지나면 벽돌들이 굳고 진흙 벽돌이 됩니다.

제작: tfc:crafting/soil/loam_mud_bricks

마른 진흙 벽돌들로는 진흙 벽돌 블록을 만들 수 있습니다. 필요하다면 벽돌로 계단이나 반 블록, 역시 만들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mud_bricks"
    }
}

모든 진흙 벽돌의 종류

초벽

초벽은 다목적 건축/장식 블록입니다.

욋가지를 만들어서 설치하면, 쉽게 부서지고 플레이어와 몹들이 지나다닐 수 있습니다. 을 사용하면 욋가지를 단단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제작: tfc:crafting/wattle

욋가지를 단단하게 만들기 위해, 욋가지에 막대기를 추가하여 엮어야 합니다.

제작: tfc:crafting/daub

제작: tfc:crafting/daub_from_mud

욋가지를 엮기 위해서는 4개의 막대기가 필요합니다.

막대기는 각각의 대각선과 위, 아래쪽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막대기를 들고 욋가지에 key.use을 누르면 막대기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다른 쪽 면을 선택하면 당신이 막대기를 추가할 면을 바꿀 수 있습니다.

욋가지에 막대기를 추가하기.

엮은 욋가지에 사용하면 초벽이 됩니다.

염료를 사용하면 초벽을 염색할 수 있습니다.

점토 블록과 이탄

점토는 점토 블록으로도 만들 수 있습니다. 점토 블록을 설치하고 부수면 다시 점토로 돌아옵니다. 별로 예쁘지는 않지만, 점토 블록을 얻기는 어렵지 않습니다.

이탄은 물 근처의 월드에서 생성되고 돌 도구로 캘 수 있습니다. 몇몇 식물들은 이탄 위에서 자랍니다.

그러나, 이탄은 꽤 잘 불에 탑니다.

점토 블록

제작: minecraft:clay

잠자리

사실은 아직 잠은 못 잡니다! 짚단 침대는 원시적인 침대로 밤을 보낼 수는 없습니다. 대신, 스폰 지점을 설정할 수는 있습니다. 짚단 침대를 만들려면 2개의 짚단블록을 가로로 나란히 설치하고, 큰 생가죽을 우클릭하세요. 큰 생가죽은 이나 같은 큰 동물들에게서 드롭됩니다.

멀티블록: 짚단 침대

{
    "pattern": [
        [
            " D ",
            " 0 "
        ]
    ],
    "mapping": {
        "0": "tfc:thatch_bed[part=head,facing=east]",
        "D": "tfc:thatch_bed[part=foot,facing=east]"
    }
}

완성된 짚단 침대.

크기와 무게

모든 아이템에는 크기 ⇲무게 ⚖가 있습니다. 아이템의 크기와 무게는 툴팁에 나타납닏. 툴팁은 아이템에 마우스를 올렸을 때 볼 수 있습니다.

크기 ⇲

크기는 아이템이 들어갈 수 있는 블록을 결정합니다.

  • 조그마한 아이템들은 어떤 블록에도 들어갑니다.

  • 아주 작은 아이템들은 어떤 블록에도 들어갑니다.

  • 작은 크기 이하의 아이템들은 작은 항아리에 들어갑니다.

  • 보통 크기 이하의 아이템들은 큰 항아리에 들어갑니다.

  • 크기 이하의 아이템들은 상자에 들어갑니다. 구덩이 가마에는 4개까지 들어갑니다.

  • 아주 큰 아이템들은 구덩이 가마에 1개가 들어갑니다.

  • 거대한아이템들은 일반적인 블록에 들어갈 수 없으며 과중량을 유발합니다.

무게 ⚖

무게는 아이템의 최대 스택 수를 정합니다.

  • 아주 가벼움: 64
  • 가벼움: 32
  • 중간: 16
  • 무거움: 4
  • 아주 무거움: 1

대부분의 아이템은 기본적으로 아주 가벼움입니다. 블록들은 보통 중간입니다.

Overburdening happens when you carry items that are both Huge and Very Heavy. Carrying just one Huge, Very Heavy item causes you to become exhausted, making your food burn quicker. Carrying two or more gives you the Overburdened status effect, which makes movement very slow.

과중량

Items that count towards overburdening include Anvils, Sealed Barrels, Crucibles (with contents)

Note: Horses can also be overburdened.

음식과 물

In TerraFirmaCraft, not only must you manage your hunger, but you must manage your thirst. Hunger works similar to vanilla. Most pieces of food restore about a fifth of your hunger bar. Some pieces of food may restore a bit less, such as Cattail Roots. Eating food also restores Saturation, which can be thought of as how full you are.

Some foods are very filling, so they keep you from losing hunger for longer, while some foods have a short-lived effect.

You will lose hunger just from regular gameplay. Hunger drains faster if you do things like sprint, swim, or become Overburdened. Information about the Saturation, Water, as well as Nutrients available from a food is available by hovering over it in your inventory. Using key.sneak reveals the full tooltip.

모든 음식은 이런 정보가 담긴 툴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툴팁에서는 또한 음식이 상하는 날짜도 표시합니다. 상하는 날짜를 늦추기 위해서는 음식을 보존할 수 있습니다. 이 정보를 보면, 모든 음식이 영양소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반죽은 음식이기는 하지만, 영양소나 포화도, 수분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그렇기에 반죽을 생으로 먹는 것은 별로 좋은 선택이 아닙니다.

A food tooltip may look like:

Orange
Expires on: 11:59 July 6, 1004 (in 1 month(s) and 1 day(s))
Nutrition:

  • Saturation: 2%
  • Water: 10%
    - Fruit: 0.5

각 영양소 수치를 나타내고 있는 영양 탭.

영양소

음식을 먹어서 얻을 수 있는 영양소들은 과일, 채소, 단백질, 곡물,그리고 유제품이 있습니다. 모든 영양소를 가득 채우면 당신의 최대 체력이 늘어나지만, 영양 상태가 나쁠수록 최대 체력이 줄어듭니다. 음식을 먹으면 그 음식의 영양소를 얻을 수 있습니다. 수프와 같은 음식은 여러 영양소를 하나의 음식으로 합칩니다. 당신이 예전에 먹은 음식들은 현재의 영양 상태에 영향을 주지 않기에 이는 꽤 중요합니다.

과일: 과일 영양소는 베리 덤불이나 과일 나무 같은 과일 식물로부터 대부분 얻을 수 있습니다. 예외적으로 호박수박 역시도 과일 영양소를 제공합니다.

채소: 거의 모든 작물이 채소 영양소를 제공합니다.

단백질: 단백질은 동물의 고기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역시 채소와 단백질 영양소를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곡물: 곡물은 보리와 같은 곡식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곡물을 가공하는 방법은 페이지에 있습니다. 부들토란 뿌리 역시 곡물에 해당합니다.

유제품: 유제품은 우유로부터 얻어집니다. 우유를 짤 수 있는 동물은 여기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유를 가공하고 마시는 법은 유제품 페이지에 있습니다.

어떤 음식이라도 썩으면 쓸모가 없어집니다. 보존 페이지에서는 음식 보존에 관한 정보가 있습니다.

목마름

목마름은 당신 몸에 있는 수분의 수치입니다. 목마름 역시 배고픔과 비슷하게 닳습니다. 기온이 높거나 배고픔이 빨리 닳을수록 목마름 역시 빨리 닳습니다. 다행히도, 민물을 마시면 목마름을 채울 수 있습니다. 물을 마시기 위해서는 물에 대고 key.use을 누르면 됩니다. 바닷물을 마시면 목이 더 말라지며 갈증 효과를 줄 수도 있습니다. 갈증 효과는 당신을 더욱 목마르게 만듭니다.

멀티블록: 안전한 물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minecraft:air",
        "Y": "tfc:plant/cattail[part=lower,fluid=water]"
    }
}

바닷물을 피하려면 강이나 호수, 부들 등의 민물에서 사는 식물들을 찾아보세요.

TFC 제작법: tfc:clay_knapping/jug

물을 들고 다니려면 점토주전자를 만들어야 합니다. 주전자는 양동이처럼 key.use을 눌러 채울 수 있습니다. key.use을 꾹 누르면 물을 마실 수 있습니다.

배고픔이나 목마름이 닳는다면 당신의 움직임과 채굴이 느려지고, 대미지를 받기 시작합니다. 당신이 죽으면 영양소도 초기화됩니다.

심화 기술

첫 곡괭이부터 여러 강철들까지를 포함하는 심화 기술들.

Aqueducts

Aqueducts are a tool used for moving Water around. Unlike Wooden Buckets, which are not able to transport water sources, Aqueducts are able to move source blocks horizontally any distance to their destination. They can be used to transport any type of water, including Fresh Water, Salt Water, and even Hot Spring Water.

제작: tfc:crafting/rock/shale_aqueduct

A singe aqueduct block can be crafted with some Bricks and Mortar.

In order to use an Aqueduct, you must simply connect them in a horizontal pattern, and place one end adjacent to either a Source or Falling water. After waiting a short while, water will begin to flow through the aqueduct network, and out the other end.

Note if aqueducts are removed, water will cease flowing, and Aqueducts will not create permanent source blocks - any water will disappear after the aqueducts are removed.

멀티블록: An Aqueduct Network

{
    "pattern": [
        [
            "     ",
            "     ",
            "  0  ",
            "     ",
            "     "
        ],
        [
            "     ",
            "     ",
            "     ",
            "     ",
            "     "
        ],
        [
            "  B  ",
            "  B  ",
            "CADAE",
            "B   B",
            "B   B"
        ]
    ],
    "mapping": {
        "A": "tfc:rock/aqueduct/marble[south=true,north=true,fluid=water]",
        "B": "tfc:rock/aqueduct/marble[east=true,west=true,fluid=water]",
        "C": "tfc:rock/aqueduct/marble[east=true,south=true,fluid=water]",
        "D": "tfc:rock/aqueduct/marble[west=true,north=true,south=true,fluid=water]",
        "E": "tfc:rock/aqueduct/marble[east=true,north=true,fluid=water]"
    }
}

Armor

Armor provides protection against attacks from predators and monsters. The quality of armor scales with the tier of the Metal, with Leather being the weakest and Colored Steels being the strongest.

TFC 제작법: tfc:leather_knapping/chestplate

Leather armor is Knapped from Leather. It does not last long, but provides some decent protection if you have a full suit.

TFC 제작법: tfc:anvil/copper_unfinished_helmet

Metal Armor requires multiple processing steps in an Anvil. First, an unfinished armor piece must be smithed. These require a Double Sheet of the metal, except for boots which require a single sheet.

TFC 제작법: tfc:welding/bismuth_bronze_greaves

Next, a Sheet must be Welded to the armor piece to finish it. Chestplates require a Double Sheet to be finished.

Armor that is of the same tier but different metals may be subtly different. These are expressed in durability, as well as Damage Resistances. In order of increasing durability, the bronzes are ranked Bismuth Bronze, regular Bronze, and then Black Bronze. For colored steels, Red Steel lasts longer than Blue Steel.

Steel armor also provides benefits such as Toughness and Knockback Resistance. Regular Steel has 1 toughness, Black Steel has 2 toughness, and the Colored Steels have 3 toughness. Black Steel has 5% knockback resistance, whereas the Colored Steels have 10%.

Damage Types

Physical Damage Types describe the nature of the damage that can be dealt by players and mobs. There are three types: Piercing, Slashing, and Crushing. Some entities are able to resist certain damage types, making it difficult or impossible to kill them with certain methods.

Piercing

Piercing damage is dealt by pointy weapons such as Knives, projectiles like Arrows and Javelins, fanged monsters like Spiders, and Cacti. Skeletons are invulnerable to piercing damage, and Zombies are slightly vulnerable to it.

Slashing

Slashing damage is dealt by weapons with long sharp edges like Axes and Swords, as well as large Predators like bears and cougars. Creepers are vulnerable to slashing damage.

Crushing

Crushing damage is dealt by blunt weapons like Hammers and Maces. Zombies deal crushing damage, and are somewhat resistant to it. Creepers also resist some crushing damage. Skeletons are vulnerable to it.

Armor has its own set of damage resistances. These resistances scale with the quality of armor, but may differ among armors of the same tier. Among bronzes, Bismuth Bronze armor is best at resisting Crushing, Black Bronze is best at resisting Piercing and regular Bronze does moderately well with any damage.

For Colored Steel, Blue Steel is better at resisting Crushing damage, whereas Red Steel is better at resisting Piercing damage.

Gems

Gems are a kind of mineral that spawns in a variety of different places, such as under rivers and in Volcanoes. For information on the precise conditions, see the ores and minerals chapter.

아이템: tag:tfc:gem_powders

Gems can be ground into powder using a Quern

제작: tfc:crafting/vanilla/tinted_glass

Some of the powders are useful on their own, such as using Amethyst Powder to make Tinted Glass.

Through Sluicing and Panning, Cut Gems can be obtained. The gem that can be obtained with the sluice is tied to the rock type of the deposit being processed.

Gems have higher Hardness values than regular ore, requiring different strength tools to break them. This summarizes the minimum Pickaxe tier required to break a gem ore block:

  • Amethyst: Steel
  • Diamond: Black Steel
  • Emerald: Steel
  • Lapis Lazuli: Wrought Iron
  • Opal: Wrought Iron
  • Pyrite: Copper
  • Ruby: Black Steel
  • Sapphire: Black Steel
  • Topaz: Steel

Light Sources

There are a number of ways to produce light in TFC. One way is the use of Lamps, but they require fuel. Some light sources only require a spark.

Table of Contents

TFC 제작법: tfc:heating/torch_from_stick

Torches can be made by heating sticks or stick bunches in a Firepit or other heating device.

Torches last for 3 days, and then become Dead Torches, which may be relit by clicking them with a torch, or by using a fire starting tool on them. Sticks can also be clicked on torches to light them. Torches dropped in water turn into Wood Ash and Sticks.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candle[candles=3,lit=true]"
    }
}

Candles last for 11 days, and may also be relit.

TFC 제작법: tfc:barrel/candle

Candles can be made by sealing String in a Barrel of Tallow.

멀티블록: Jack 'o Lanterns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jack_o_lantern"
    }
}

Jack 'o Lanterns are the lit version of Carved Pumpkins, and last for 4.5 days, before reverting to carved pumpkins.

Carved Pumpkins are made by clicking key.use with Shears or a Knife on a fresh Pumpkin. Carved pumpkins do not rot, and can be worn on your head.

Pets

Pets are animals that function quite similar to Livestock, but have no useful products. Instead, they can obey commands, follow you around your home, control pests, and help you hunt.

Pets recognize a certain player as their Owner. To become a pet's owner, feed it to raise its familiarity above 15%%. Pets will only obey commands that come from their owner.

Clicking on a pet with dye changes its collar color.

엔티티: Dog

A dog.

Dogs are a pet that eats grains, vegetables, and meat, rotten or not rotten. They will help you hunt most any land predator or prey.

엔티티: Cat

A cat.

Cats are a pet that eats grains, cooked meats, and dairy products. They will help you hunt land prey and small fish. When at home, they will kill pests without being asked to. Cats do not always listen when being told to sit.

Responsible pet owners must learn to control their pet. Luckily, this is easy. By pressing key.use while holding key.sneak with an empty hand, the Pet Screen may be opened. This screen contains a number of commands that can be used to tell the pet what to do: Relax, We're Home, Sit, Follow Me, and Hunt With Me.

Relax is the default state of pets, and commanding them returns them to this state. If a pet it at home, it will wander around the property, but not leave, and sleep once a day. If it is too far from home, it will walk aimlessly.

We're Home sets the home position of the pet. This tells the animal that it should, when relaxing, stay in that general area. Telling an animal that it is at home does not change the activity it is currently doing.

Sit tells the pet to sit where it is. However, animals have minds of their own, and will eventually get bored and stand up!

Hunt With Me tells the pet to follow you, and engage in combat when you attack or are attacked. Pets will only attack animals that they are able to (for example, cats cannot help attack bears!).

Follow Me is the same as Hunt With Me, but the pet will not risk itself in combat.

Powderkegs

Powderkegs are a device used to create explosions. They have an inventory of 12 slots, which may only contain gunpowder. The strength of the explosion is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gunpowder contained.

멀티블록: The Powderkeg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owderkeg[sealed=true]"
    }
}

Similar to the Barrel, the powderkeg is a device which can be sealed and unsealed with key.use. Only sealed powderkegs may be ignited.

Explosions from powderkegs will cause other powderkegs to light and explode. All blocks broken in an explosion will drop items, but not necessarily at the same location of the block they were from.

제작: tfc:crafting/powderkeg

Powderkegs can be made from adding gunpowder and red dye to a barrel.

제작: tfc:crafting/gunpowder

제작: tfc:crafting/gunpowder_graphite

Gunpowder can be made in two ways: the first formulation is from Saltpeter, Sulfur, and Charcoal powder. Powder is made using a Quern. If you have access to Graphite, then a more productive recipe can be used.

Sluices

The Sluice is a device that is used to process Ore Deposits, producing the same results that Panning does.

제작: tfc:crafting/wood/sequoia_sluice

The sluice is made from sticks and lumber.

When placed, the sluice takes up two blocks. Water must flow through the top of the sluice and out the bottom in order for it to operate. The sluice is able to work when water appears to be flowing through it. The water flowing into the sluice must be the last block of a water stream. There must be an empty block below the bottom of the sluice for water to flow into.

A sluice with the correct water setup.

To use the sluice, drop deposit items into the water stream and let them flow into it. They will appear on the sluice, and after some time, there is a chance of the processed items being spat out the bottom.

A working sluice with items inside of it.

Wooden Buckets

Wooden Buckets are an early game fluid container. They can contain 1000 mB of fluid. They can pick up any kind of fluid that is used for recipes, such as those in a Pot or Barrel. However, wooden buckets cannot place source blocks. Dumping its fluid on the ground results in a small amount of fluid that quickly disappears.

제작: tfc:crafting/wooden_bucket

The wooden bucket is made of Lumber.

가열하기

아이템을 가열하는 것은 하나의 아이템을 다른 아이템이나 액체로 바꾸는 방법입니다. 아이템은 모닥불, 구덩이 가마, 숯불 노, 그 외의 여러 방법으로 가열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 모두는 같은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러한 장치 내부에 아이템을 넣으면 아이템이 점차 가열됩니다. 아이템의 툴팁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이템의 온도는 색깔로써 표시되며 다음과 같이 변합니다:

따뜻함: 1 - 80 °C
뜨거움: 80 - 210 °C
아주 뜨거움: 210 - 480 °C
희미한 빨강: 480 - 580 °C
어두운 빨강: 580 - 730 °C
밝은 빨강: 730 - 930 °C
주황: 930 - 1100 °C
노랑노랑: 1100 - 1300 °C
연노랑연노랑: 1300 - 1400 °C
하양하양: 1400 - 1500 °C
밝은 하양밝은 하양: >1500 °C

가죽 제작

가죽은 생가죽으로 만드는 견고한 재료입니다. 가죽으로는 가죽 갑옷, 안장, 또는 풀무를 만들 수 있습니다. 생가죽은 석회수에 불리고, 털을 빼고, 세척하고, 무두질하여 가죽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생가죽

아이템: 작은 생가죽 (Small Raw Hide)
아이템: 중간 크기 생가죽 (Medium Raw Hide)
아이템: 큰 생가죽 (Large Raw Hide)

일단 처음으로는 생가죽을 얻어야 합니다. 생가죽은 여러 동물들을 잡아 얻을 수 있습니다. 각각의 동물들은 다양한 크기의 생가죽을 드롭합니다.

가죽 제작에는 여러 재료와 도구들이 필요합니다. 필요한 것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석회수 - 플럭스에 녹인 용액
  • 탄닌 - 특정 나무의 원목으로부터 만들어지는 산성 용액
  • 생가죽

이 모든 것이 있다면, 이제 가죽 가공을 시작할 준비가 되었습니다.

TFC 제작법: tfc:barrel/medium_soaked_hide

일단, 생가죽을 깨끗이 씻고 털 등의 필요 없는 재료들을 느슨히 만들기 위해 석회수에 불려야 합니다. 이 과정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생가죽석회수가 담긴 통에 8시간 이상 담가야 합니다.

털 빼기

아이템: 털을 뺀 작은 생가죽 (Small Scraped Hide)
아이템: 털을 뺀 중간 크기 생가죽 (Medium Scraped Hide)
아이템: 털을 뺀 큰 생가죽 (Large Scraped Hide)

불린 후에, 불린 생가죽에서 털 등을 제거하기 위해 가죽을 긁어야 합니다. 가죽을 긁기 위해서는 가죽을 통나무 옆면 위에 올려놓아야 합니다. 을 들고, 가죽의 각 부위에 key.use을 누르면 색이 약간 변할 것입니다.

가죽을 다 긁은 후에, 가죽을 부수면 털을 뺀 생가죽을 얻을 수 있습니다

TFC 제작법: tfc:barrel/medium_prepared_hide

가죽을 긁은 후에, 털을 뺀 생가죽은 무두질하기 이전에 마지막으로 세척하기 위해서 이 담긴 에 8시간 이상 담가야 합니다.

TFC 제작법: tfc:barrel/medium_leather

마지막으로, 세척한 가죽은 생가죽을 가죽으로 변환하기 위한 산성 화합물인 탄닌이 담긴 통에 담가야 합니다. 다시 8시간이 지난 후, 통에서 가죽을 꺼낼 수 있습니다.

강철

Steel is an advanced material which can be used to create tools and Armor, and comes in a few different varieties: Steel, Black Steel, Red Steel, and Blue Steel.

In order to create steel, you must first create Pig Iron in a Blast Furnace, and cast it into Ingots.

TFC 제작법: tfc:anvil/high_carbon_steel_ingot

선철 주괴는 단조하여 고탄소강 주괴를 만들 수 있으며, 다시 단조하면 강철 주괴가 됩니다

흑강

흑강은 강철을 다른 금속들과 합금하여 만드는 강화된 강철입니다. 흑강을 만들기 위해서는 도가니에서 약강철을 만들어야 합니다.

약강철

아이템: 약강철 주괴 (Weak Steel Ingot)

합금 비율:

  • 50 - 70 % : 강철
  • 15 - 25 % : 니켈
  • 15 - 25 % : 헤파티존

녹은 약강철은 주조하여 주괴로 만들 수 있습니다.

TFC 제작법: tfc:welding/high_carbon_black_steel_ingot

약강철 주괴는 다시 선철 주괴와 용접하여 고탄소 흑강 주괴를 만들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고탄소 흑강 주괴를 모루로 단조하면 흑강 주괴를 만들 수 있습니다.

Black Steel can be used to craft tools and Armor, and also is used as a key ingredient in the creation of Blue Steel and Red Steel.

청강

청강적강과 더불어 가장 높은 티어의 금속 중 하나입니다. 흑강과 비슷하게 첫 단계는 약한 청강도가니에서 만드는 것입니다.

약한 청강

아이템: 약한 청강 주괴 (Weak Blue Steel Ingot)

합금 비율:

  • 50 - 55 % : 흑강
  • 20 - 25 % : 강철
  • 10 - 15 % : 비스무트 청동
  • 10 - 15 % : 스털링 실버

TFC 제작법: tfc:welding/high_carbon_blue_steel_ingot

약한 청강 주괴흑강 주괴와 용접하여 고탄소 청강 주괴를 만들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고탄소 청강 주괴를 모루로 단조하면 청강 주괴를 얻을 수 있습니다.

Blue Steel can be used to create tools and Armor, and a Blue Steel Bucket. The blue steel bucket is a powerful bucket capable of transporting source blocks of lava and molten metals. Blue steel is also used as a crafting ingredient in one of the most sought after items in the game... a Bucket.

적강

적강청강과 더불어 가장 높은 티어의 금속 중 하나입니다. 흑강과 비슷하게 첫 단계는 약한 적강도가니에서 만드는 것입니다.

약한 적강

아이템: 약한 적강 주괴 (Weak Red Steel Ingot)

합금 비율:

  • 50 - 55 % : 흑강
  • 20 - 25 % : 강철
  • 10 - 15 % : 황동
  • 10 - 15 % : 로즈골드

TFC 제작법: tfc:welding/high_carbon_red_steel_ingot

약한 적강 주괴는 흑강 주괴와 용접하여 고탄소 적강 주괴를 만들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고탄소 적강 주괴를 모루로 단조하면 청강 주괴를 얻을 수 있습니다.

Red Steel can be used to create tools and Armor, and a Red Steel Bucket. The red steel bucket is a powerful bucket capable of transporting source blocks of water and other fluids. Red steel is also used as a crafting ingredient in one of the most sought after items in the game... a Bucket.

광물 탐색

작은 금속 조각들, 기억하시나요? 더 많은 광석들을 찾기 위해서는 광범위한 탐색이 필요할 지도 모릅니다. 이를 위해서는 광석과 광물들과 굉장히 익숙해져야 합니다. 당신이 특정 자원을 찾고 있다면, 해당 광석이 생성되는 암석의 종류를 세계에서 찾아야 합니다.

작은 조각을 줍는 것만으로 성에 차지 않는다면, 이제 광맥을 탐색할 시간입니다:

  • 작은 광석 조각들은 광맥이 가로 15블록, 세로 35블록 이내에 있을 때 나타납니다. 당신이 광석 조각들의 중앙을 찾는다면, 광맥이 당신 바로 아래에 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 땅에 드러난 광맥은 멀리서 볼 수 있는 절벽이나 수역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탐색기

아이템: 구리 탐색기 (Copper Prospector's Pick)

당신이 (조각을 찾을 수 없는) 광석이나 광물의 광맥을 찾고 있고 위치를 전혀 추측할 수 없다면, 탐색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탐색기는 사용한 블록의 25x25x25 주변 범위에 있는 광석의 양과 종류를 표시합니다.

TFC 제작법: tfc:clay_knapping/propick_head_mold

탐색기를 만들려면 점토로 위와 같은 모양을 만들어야 합니다.

TFC 제작법: tfc:heating/propick_head_mold

금형의 모양을 제작했다면 탐색기 머리 금형을 만들기 위해서 구워져야 합니다.

탐색기 머리를 만들려면 녹은 금속을 금형에 담아 주조해야 합니다.

TFC 제작법: tfc:anvil/wrought_iron_propick_head

탐색기 머리는 또한 금속 주괴모루에서 단조하여 만들 수도 있습니다.

탐색기는 탐색기 머리를 막대기와 조합해 만들 수 있습니다.

탐색기는 실제로 없는 광물이 있다고 탐색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범위 내에 광맥이 있는 경우에도 없다고 표시되는 경우는 있습니다. 높은 티어의 탐색기일수록 이런 효과가 줄어들거나 아예 사라집니다.

하나의 블록에 사용하면 같은 티어의 탐색기는 광석이 제거되지 않는 한 항상 같은 결과를 나타냅니다.

만일 주변에 여러 가지의 광맥이 존재하더라도, 탐색기에서는 하나의 광맥만이 표시됩니다.

탐색기를 사용하면 이 결과들 중 하나가 나타납니다:

  • 아무것도 찾지 못 함. (거짓일 가능성 있음)
  • 광물의 흔적
  • 작은 광맥
  • 중간 크기 광맥
  • 큰 광맥
  • 아주 큰 광맥

아주 큰 광맥은 최소 80개 이상의 블록으로 이루어집니다.

괴철로

제작: tfc:crafting/bloomery

괴철로철 광색을 제련해 연철로 가공 가능한 괴철을 만드는 장치입니다. 철 광석에는 적철석, 갈철석, 자철석이 있습니다. 이 광석들을 단순히 녹이기만 한다면 주철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이 괴철로가 필요한 이유입니다.

멀티블록: 괴철로

"tfc:bloomery"

최소 크기의 괴철로. 괴철로는 key.use을 눌러 여닫을 수 있습니다.

괴철로에는 최대 24개의 철광석과 24개의 을 넣을 수 있으며, 각 8개의 아이템마다 굴뚝에 1개의 블록이 쌓입니다. 굴뚝을 위로 높이기 위해서 2개의 돌 블록을 더 위로 쌓을 수 있습니다.

괴철로에 아이템을 넣으려면 꼭대기로 올라가서 안에 아이템을 던져 넣으면 됩니다. 그러면 회색 광석 블록이 안에 쌓이게 됩니다.

괴철로에 아이템을 추가하기.

괴철로에는 같은 양의 숯과 광석 아이템이 들어있어야 합니다. 괴철로 블록을 켜고, 하루종일 기다리세요. 괴철로가 꺼진다면 작업이 끝난 것입니다. 괴철로에서 녹은 철 100mB마다 괴철 블록으로 변환됩니다. 괴철 블록을 곡괭이로 캐내면 괴철 아이템을 얻을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괴철 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bloom[layers=8]"
    }
}

가득 찬 괴철 블록.

TFC 제작법: tfc:anvil/refined_iron_bloom

괴철모루에서 단조하여 제련된 괴철을 만들 수 있습니다.

TFC 제작법: tfc:anvil/wrought_iron_from_bloom

제련된 괴철을 다시 한번 모루에서 단조하면 연철괴를 만들 수 있습니다.

참고 사항

  • 괴철로 안에 최대 용량 이상의 아이템이 들어온다면 괴철로 앞으로 아이템이 튀어나갑니다.

  • 켜지지 않은 괴철로에서 아이템을 회수하려면 돌 블록 굴뚝을 부수지 말고, 괴철로 블록을 부수세요.

  • 괴철을 녹인다고 해서 연철이 되지 않으며, 그냥 주철이 됩니다. 그러므로 꼭 단조해야 합니다!

  • 괴철로는 안에 들어온 광석의 개수만 고려하며 광석의 품질은 고려하지 않습니다. 풍부한 광석을 사용하든 빈약한 광석을 사용하든 같은 양의 숯을 사용합니다!

  • 녹은 광석 블록은 주변으로 쉽게 불을 번집니다! 조심하세요.

끌은 반 블록이나 계단 등의 장식 블록을 만드는 도구입니다. 시작하려면 과 아무 종류의 망치가 필요합니다. 끌은 금형으로 주조하거나 모루로 만들 수 있습니다. 끌을 사용하려면, 끌을 오른손에 두고 망치를 왼손에 둔 상태로 월드에 있는 블록 하나를 바라보세요.

만약 그 블록에 끌을 사용할 수 있다면, 블록에 선택된 끌의 모드에 따라 빨간 외곽선이 보여질 것입니다.

끌에는 반 블록, 계단, 다듬기 3개의 모드가 있습니다. 끌의 모드는 tfc.key.cycle_chisel_mode 키를 눌러 바꿀 수 있습니다. 선택된 끌의 모드는 핫바 바로 왼편에 표시됩니다.

key.use을 누르면 빨간 외곽선으로 표시된 것처럼 블록을 바꿀 수 있습니다. 반 블록 모드를 선택했다면, 블록의 나머지 반쪽이 반 블록으로 떨어집니다. 플레이어와 마우스의 방향을 바꾸면 결과물 블록의 방향도 바꿀 수 있습니다. 대체로 결과물 블록의 방향은 당신이 블록을 설치할 때의 방향과 일치합니다.

석회암 블록에 사용 가능한 3개의 끌 모드.

제작: tfc:crafting/rock/marble_smooth

또한 끌은 제작대에서 대량의 블록을 한 번에 다듬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조심하세요! 광산에서 끌을 사용하면 안전하지 않습니다. 끌을 사용할 때 마다 무너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낚시

낚시는 강, 호수나 바다에서 헤엄치는 물고기를 사냥하는 방법입니다. 낚싯대에는 미끼가 있어야 합니다. 물고기들은 미끼를 먹으려 노력하며 가끔씩은 걸립니다. 낚싯줄을 감아 올리면 물고기가 올라오며, 낚싯바늘의 티어가 높을수록 쉬워집니다.

TFC 제작법: tfc:anvil/bismuth_bronze_fish_hook

먼저 낚싯바늘을 모루에서 만들어야 합니다.

낚싯대

제작: tfc:crafting/metal/fishing_rod/bismuth_bronze

낚싯대는 낚싯바늘로 만들 수 있습니다.

낚싯대에 미끼가 없다면 아무 쓸모가 없습니다. 미끼는 작업대를 통해 달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물고기를 잡으려면 씨앗이나 가재가 필요합니다. 돌고래범고래 같은 더 큰 물고기들을 잡으려면 대구, 연어, 열대어, 또는 블루길이 필요합니다.

낚싯대를 던지려면 key.use을 누르세요. 그리고는 물고기가 오기까지 낚싯대를 들고 기다리세요. 당기려면 다시 key.use을 누르세요. 당길 때 핫바에 있는 게이지가 차오릅니다. 너무 빨리 당긴다면 물고기는 미끼와 함께 달아납니다. 낚시를 할 때 마다, 물고기가 미끼를 먹어버릴 가능성도 있습니다. 물고기를 잡기 위해서는 육지로 끌어올린 다음 도구로 죽이세요. 낚싯대를 왼손에 들면 더 수월하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낚시 중에 경험치 바를 대신하는 낚시 게이지.

내화점토

내화점토의 쓰임새가 많지는 않지만, 그 모두가 중요합니다. 내화점토는 일반 점토보다 더 불에 강한 점토의 일종입니다. 내화점토는 아주 고온에서 견뎌야 하는 아이템들을 만드는 데 쓰입니다!

제작: tfc:crafting/fire_clay

내화점토는 고령석흑연맷돌로 갈아 만든 가루를 이용해 만듭니다.

TFC 제작법: tfc:fire_clay_knapping/crucible

내화점토로 만든 굽지 않은 도가니.

TFC 제작법: tfc:fire_clay_knapping/brick

용광로의 굴뚝에는 오로지 내화벽돌만 쓸 수 있습니다.

도가니

도가니합금 제작에 쓰이는 심화 장치입니다. 도가니를 사용하면 작은 항아리를 사용하는 것 보다 더 정밀하게 합금을 만들 수 있습니다.

도가니을 만들기 위해서, 먼저 당신에게는 내화점토가 필요합니다. 점토보다 견고한 재료인 내화점토는 굽지 않은 도가니로 형태를 만들 수 있습니다.

TFC 제작법: tfc:fire_clay_knapping/crucible

굽지 않은 도가니를 만들기.

TFC 제작법: tfc:heating/crucible

굽지 않은 도가니를 만든 후에는 여느 도자기들처럼 구덩이 가마숯불 노 등에서 구워야 합니다.

도가니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열원이 필요합니다. 도가니는 아래에 놓여진 블록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숯불 노를 사용합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   ",
            " C ",
            "   "
        ],
        [
            "GGG",
            "G0G",
            "GGG"
        ]
    ],
    "mapping": {
        "C": "tfc:crucible",
        "0": "tfc:charcoal_forge[heat_level=7]",
        "G": "tfc:rock/bricks/granite"
    }
}

아래의 숯불 노에 의해 가열되는 도가니.

심화 합금

이제 도가니를 사용할 준비가 되었습니다. 도가니를 열면, 오른쪽처럼 도가니 인터페이스를 볼 수 있습니다. 맨 윗 부분은 현재 도가니에 담긴 금속을 나타냅니다. 첫 번째 금속은 현재 완성된 금속을 나타냅니다. 다른 금속들은 이 합금에 포함된 다른 금속들을 나타냅니다.

도가니 인터페이스

도가니는 한 번에 녹일 수 있는 9개의 아이템 슬롯이 있으며, 이 슬롯에서 녹은 아이템은 바로 도가니로 추가됩니다. 금형과 같이 녹은 금속이 들어있는 아이템들을 올려두면 내용물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금속이 도가니로 느리게 추가됩니다.

빈 금형 등의 금속을 담을 수 있는 아이템을 올려두면 도가니의 내용물이 해당 아이템으로 들어갑니다.

온도 게이지는 숯불 노 등 아래쪽의 열원 또는 위쪽의 용광로로붙 가열됩니다. 금속은 녹아 있는 한 어느 때든 도가니에서 뽑아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도가니는 부서졌을 때 내용물을 보존하며, 내부의 금속을 다른 곳으로 옮길 수 있습니다.

램프

멀티블록: 램프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metal/chain/copper[axis=y]",
        "Y": "tfc:metal/lamp/copper[hanging=true,lit=true]"
    }
}

램프는 오래 가는 광원입니다. 램프는 액체 연료를 태웁니다.

램프에 연료를 추가하려면 양동이를 들고 key.use을 눌러야 합니다. 램프를 켜려면 불피우개 등 불을 피울 수 있는 아이템을 사용하면 됩니다. 램프를 부수어도 안에 연료가 보존됩니다.

TFC 제작법: tfc:quern/olive

램프 연료 중 하나는 올리브유입니다. 제작하려면 먼저 으깬 올리브를 만들어야 합니다.

제작: tfc:crafting/jute_net

황마 그물 역시 필요합니다.

Boil the Olive Paste with Water in a Pot() to make Olive Oil Water. Seal that in a Barrel with your Jute Net to produce Olive Oil. Olive oil burns for 8 in-game hours for every unit of fluid.

Another lamp fuel is Tallow. To make it, cook 5 Blubber, in a Pot of water. Tallow burns for less than 2 in-game hours per unit. It can be used to make Candles

멀티블록: 용암 램프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metal/lamp/blue_steel[lit=true]"
    }
}

용암은 영원히 지속되는 연료지만, 청강 램프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TFC 제작법: tfc:anvil/black_steel_chain

사슬은 램프를 거는 좋은 방법이며, 모루에서 만들 수 있습니다.

맷돌

맷돌은 아이템을 가는 장치입니다. 맷돌로는 가루와 그 외의 아이템들 몇몇을 만들 수 있습니다. 맷돌은 받침대윗돌로 구성됩니다.

제작: tfc:crafting/quern

맷돌의 받침대는 3개의 부드러운 돌과 3개의 다른 블록으로 만들어집니다.

제작: tfc:crafting/handstone

맷돌에는 윗돌이 있어야 작동합니다.

맷돌 블록의 위쪽을 보고 key.use을 누르면 윗돌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맷돌의 위에 key.use을 누르면 아이템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맷돌의 손잡이에 key.use을 누르면 윗돌을 돌릴 수 있습니다.

결과물은 맷돌 위에 올려집니다. 맷돌의 아무 부분에나 key.use을 누르면 아이템을 꺼낼 수 있습니다.

TFC 제작법: tfc:quern/sulfur

맷돌은 같은 다양한 광석으로부터 가루를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

TFC 제작법: tfc:quern/plant/black_orchid

염료는 여러 꽃들을 갈아 만들 수 있습니다.

TFC 제작법: tfc:quern/emerald

보석들 역시 가루로 갈립니다.

TFC 제작법: tfc:quern/barley_grain

곡물 가루 역시 맷돌로 제작할 수 있습니다.

TFC 제작법: tfc:quern/fluxstone

플럭스 역시 맷돌로 제작할 수 있습니다.

모닥불과 냄비

냄비는 모닥불에서 새로운 종류의 음식을 조리하고 다른 유용한 아이템들을 제작하게 해 주는 장치입니다.

냄비를 사용하려면 모닥불 위에 도자기 냄비를 올려놓아야 합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pot"
    }
}

냄비를 올려놓은 모닥불.

TFC 제작법: tfc:clay_knapping/pot

도자기 냄비는 먼저 점토로 형태를 만들어야 합니다.

TFC 제작법: tfc:heating/fired_pot

모닥불과 사용할 수 있는 도자기 냄비를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구워야 합니다.

모닥불과 비슷하게, 냄비에는 맨 위쪽부터 넣는 4개의 연료 슬롯과 온도 게이지가 있습니다. 냄비는 또한 5개의 아이템과 아무 액체 1000 mB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냄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통이나 양동이 등으로 냄비 속에 액체를 넣어야 합니다. 그 후에 아이템을 넣고 냄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냄비는 제작이 완료될 때까지 계속 끓습니다.

끓으면서 수프를 만드는 중인 냄비의 인터페이스.

§수프 제작법

아이템: 맛있는 수프 (Tasty Soup)

수프는 3-5개의 과일, 채소, 고기이 든 냄비에서 끓여 만듭니다. 제작을 완료한 후에는 냄비 속의 물이 빨갛게 변합니다. 그릇을 들고 key.use을 누르면 수프를 꺼낼 수 있습니다. 수프는 여러 영양소를 하나의 음식으로 결합합니다.

간단한 제작법

아이템: 빨간색 염료 양동이 (Red Dye Bucket)

다른 냄비 제작법들은 아이템과 액체를 다른 무언가로 바꿉니다. 예를 들면, 5개의 에서 끓이면 잿물이 됩니다.

모닥불과 석쇠

석쇠은 모닥불에서 음식을 더 효율적으로 조리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석쇠는 동시에 5개의 아이템을 요리할 수 있으며 음식에게 보존 기간을 늘리는 석쇠구이 속성을 줍니다. 석쇠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모닥불 위에 연철 석쇠를 클릭하여 올려놓아야 합니다.

멀티블록: 석쇠를 올려놓은 모닥불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grill"
    }
}

TFC 제작법: tfc:anvil/wrought_iron_grill

석쇠는 모루에서 연철 합판을 단조하여 만들 수 있습니다.

다음 페이지에는 석쇠의 인터페이스가 있습니다. 모닥불과 마찬가지로, 맨 위쪽부터 넣는 4개의 연료 슬롯과 온도 게이지, 그리고 1개가 아닌 5개의 가열할 아이템 슬롯이 있습니다.

석쇠 인터페이스.

모루

모루는 금속 주괴를 용접하고 단조하여 여러 다양한 형태로 만드는, 금속 가공에 중요한 장치입니다.

모루는 금속을 다른 형태로 변형하는 단조와 두 개의 금속을 하나로 합치는 용접 2가지의 일을 할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anvils"
    }
}

모든 종류의 금속 모루.

제작: tfc:crafting/metal/anvil/copper

모루는 금속 합괴로 제작할 수 있습니다. 최초의 모루를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돌 모루에서 금속을 용접해야 합니다.

모루는 티어가 있으며, 티어는 모루가 용접하고 변형할 수 있는 재료의 종류를 결정합니다. 모루에서는 모루와 같은 티어의 금속을 변형할 수 있으며 한 티어 높은 금속을 용접할 수 있습니다.

  • 티어 0: 돌 모루
  • 티어 I: 구리
  • 티어 II: 비스무트 청동, 헤파티존, 청동
  • 티어 III: 연철
  • 티어 IV: 강철
  • 티어 V: 흑강
  • 티어 VI: 적강, 청강

단조

모루에서 아이템을 단조하려면 먼저 오른쪽에 보이는 바와 같이 모루를 열어야 합니다. 왼쪽에는 2개의 입력 아이템 슬롯이 있으며, 단조는 왼쪽 슬롯에서 진행됩니다. 모루에서 단조하는 데는 망치가 필요합니다. 망치는 모루의 망치 슬롯에 두거나 또는 손에 들고 있을 수 있습니다. 아이템을 단조할 때마다 망치의 내구도는 감소합니다.

모루 인터페이스.

그리고 나서는 당신이 원하는 아이템으로 계획을 선택해야 합니다. 계획서가 그려진 버튼을 클릭하고 제작할 아이템을 선택하세요. 다시 모루 인터페이스로 돌아오면 계획서 버튼에 선택한 아이템이 표시되며 조건목표 지점이 표시됩니다.

곡괭이 제작을 선택한 이후.

목표

모루 화면의 중앙에는 2개의 화살표가 있습니다. 초록색 화살표는 현재의 단조 진행도입니다. 빨간색 화살표는 목표 지점입니다. 당신의 목표는 초록색 화살표를 빨간색 화살표에 정확히 맞추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초록색빨간색 행동 버튼을 눌러 정해진 양만큼 초록색 화살표를 좌우로 움직여야 합니다.

초록색 행동들은 진행도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며, 빨간색 행동들은 왼쪽으로 이동시킵니다. 진행도를 진행도 바 바깥으로 이동시키면, 아이템에 너무 많은 충격이 가해지며 아이템을 잃게 됩니다. 그러나 단조 중에는 또한 규칙도 맞추어야 합니다...

단조 조건

규칙은 모루 화면 위쪽에 표시되는 2-3개의 아이콘입니다. 이 아이콘들은 단조를 완성하기 위해 취해야 하는 특정한 행동들을 표시합니다. 예를 들면면 굽히기 (뒤에서 2번째로)는 끝내기 전 뒤에서 2번째로 무조건 굽히기를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지막으로 한 3개의 행동들이 규칙 아래에 표시됩니다.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 해당 조건의 테두리는 초록색으로 변합니다. 모든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만 단조를 완료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단조할 때는 아이템의 온도에 주의해야 합니다. 금속은 아이템의 툴팁에 단조 가능이 표시되는 온도 이상에서만 단조할 수 있습니다. 단조 중에 아이템을 다시 꺼내어서 가열할 수도 있습니다.

단조 보너스

단조는 지루하거나 목표를 맞추는 데 오랜 시행착오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효율적으로 단조한다면 보상이 주어집니다. 도구 머리와 같은 일부 아이템들은 적은 행동만으로 목표를 맞추었을 때, 얼마나 효율적으로 단조했는가에 기반하여 단조 보너스가 주어집니다. 이 보너스는 해당 머리를 사용해 만든 아이템에 적용됩니다.

완벽한 단조

아이템: 연철 곡괭이 (Wrought Iron Pickaxe)

다음은 4종류의 단조 보너스입니다:

  • 어설픈 단조
  • 쓸만한 단조
  • 전문적인 단조
  • 완벽한 단조

단조 보너스는 도구의 내구도를 올리거나 채굴 속도를 높이고, 공격 대미지를 높이는 등 도구의 능력치를 강화합니다.

용접

용접은 두 개의 아이템을 합쳐서 하나로 만드는 작업입니다. 용접은 돌 모루나 금속 모루에서나 똑같은 방법으로 할 수 있습니다.

먼저, 용접하고 싶은 두 개의 아이템을 모루에 올려놓아야 합니다. 아이템은 모루로 웅크리고 클릭하거나 직접 모루 인터페이스를 열어서 넣을 수 있습니다.

또한 용접을 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플럭스가 모루에 들어 있어야 합니다. 또한 용접할 아이템 모두가 툴팁에 용접 가능이라고 표시될 만큼 충분히 뜨거워야 합니다. 그리고 나서 모루에 웅크리고 망치로 클릭하면 아이템이 용접되는 망치질 소리가 들릴 것입니다. 그리고 모루를 웅크리고 맨손으로 key.use을 눌러 꺼낼 수 있습니다.

발전된 재료

In addition to the primitive building materials of the stone age, the acquisition of metal tools allows the construction of more advanced building materials

내용

  1. Alabaster
  2. Bricks and Mortar

석고 블록

Alabaster is a building block made from Gypsum. Alabaster can be made by directly crafting with Gypsum, however it can be made more efficiently by sealing some Gypsum with 100 mB of Limewater in a barrel.

석고 벽돌

제작: tfc:crafting/alabaster_brick

제작: tfc:crafting/alabaster_bricks

석고 장식

Alabaster can be dyed in a Barrel of dye into any color. Raw Alabaster blocks can also be chiseled into Polished Alabaster using the Smooth chisel mode, or crafted into stairs, slabs, or walls.

Stairs and Slabs

제작: tfc:crafting/alabaster/magenta_bricks_stairs

제작: tfc:crafting/alabaster/magenta_polished_slab

Bricks and Mortar

Stone Bricks can be made using a Chisel with some individual loose rocks. It then requires Mortar in order to form a strong building block.

Mortar can be made by adding Sand to a barrel of Limewater.

제작: tfc:crafting/rock/gneiss_brick

제작: tfc:crafting/rock/gneiss_bricks

Other decorative stone blocks can also be made, such as both Cracked Bricks, and Chiseled Stone. Mossy stone blocks can also be created by placing cobblestone or bricks underwater, near existing mossy bricks or cobblestone. The moss will start to spread to these nearby blocks.

제작: tfc:crafting/rock/gneiss_chiseled

제작: tfc:crafting/rock/gneiss_cracked

비료

비옥화

비료는 작물에 영양분을 주기 위해 사용합니다. 비료를 들고 경작지작물key.use을 클릭하면 비료를 줄 수 있습니다. 비료를 주면 입자들이 나타납니다.

제작: tfc:crafting/composter

The composter is an essential tool for making fertilizer. It needs both green and brown items to work. Different items contribute more to the amount of compost produced than others. To add an item to it, key.use.

아이템: tag:tfc:compost_greens_low

Some green items contribute little to the composter, such as plants. To fill a composter's appetite of green items, you need 16 of them.

아이템: tag:tfc:compost_greens

Some green items contribute moderately to the composter, such as grains. To fill a composter's appetite of green items, you need 8 of them.

아이템: tag:tfc:compost_greens_high

Some green items contribute a great amount to the composter, such as fruits and vegetables. To fill a composter's appetite of green items, you need 4 of them.

아이템: tag:tfc:compost_browns_low

Some brown items contribute little to the composter, such as tall plants like dry phragmite, tree ferns, and vines, as well as fallen leaves. To fill a composter's appetite of brown items, you need 16 of them.

아이템: tag:tfc:compost_browns

Some brown items contribute moderately to the composter, such as wood ash and jute. To fill a composter's appetite of brown items, you need 8 of them.

아이템: tag:tfc:compost_browns_high

Some brown items contribute a great amount to the composter, such as melons, pumpkins, dead grass, pinecones, humus, and driftwood. To fill a composter's appetite of brown items, you need 4 of them.

아이템: tag:tfc:compost_poisons

일부 아이템들은 퇴비에 을 풀 것입니다. 이런 아이템에는 고기 등이 있습니다. 썩은 퇴비를 작물에 사용하면 즉시 죽어버립니다.

Composters operate better in certain conditions. Composters that have a block of snow on top work slightly faster. Composters in regions of less than 150mm or greater than 350mm of rainfall operate much slower. Also, composters that are touching other composters work slower.

아이템: 퇴비 (Compost)

퇴비는 퇴비통의 생산품입니다.

  • 질소: 40
  • 인: 20
  • 칼륨: 40

아이템: minecraft:bone_meal

뼛가루는 뼈를 갈아 만들 수 있습니다.

  • 인: 10

아이템: 초석 가루 (Saltpeter)

초석은 초석 광석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 질소: 10
  • 칼륨: 40

아이템: 구아노 (Guano)

구아노는 땅 속 깊이 또는 자갈 해변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 질소: 80
  • 인: 50
  • 칼륨: 10

아이템: 나뭇재 (Wood Ash)

나뭇재는 모닥불을 부수어 만들 수 있습니다.

  • 인: 10
  • 칼륨: 30

아이템: 칼리암염 가루 (Sylvite Powder)

Sylvite is made from its ore.

  • Potassium: 50

빵은 보리 등의 여러 곡물을 가공한 음식입니다. 곡식 작물을 부수면 날것의 곡물 아이템이 나오는데, 이 자체로는 쓸모가 없습니다. 곡물로는 을 만들어서, 먹거나 샌드위치를 만들 수 있습니다.

제작: tfc:crafting/barley_cutting

일단, 로 곡식을 잘라 곡물을 얻으세요.

아이템: 호밀 곡물 (Rye Grain)

곡물은 곡식의 가공 과정에서 가장 오래도록 보존되는 형태로서, 대부분의 음식보다 훨씬 느리게 상합니다. 신선한 곡물은 10개월 7일동안 상하지 않습니다. 작은 작은 항아리 안에서 보관하면 1년 9개월 7일동안 상하지 않습니다.

TFC 제작법: tfc:quern/oat_grain

곡물을 맷돌로 갈면 곡물 가루를 얻을 수 있습니다.

제작: tfc:crafting/dough/barley_dough_1

반죽은 곡물 가루에 물 양동이를 더해 만들 수 있습니다.

TFC 제작법: tfc:heating/barley_dough

반죽을 구우면 빵을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빵은 샌드위치를 만드는 데도 쓸 수 있습니다.

사금질

사금질은 강이나 다른 물길에서 특정 자연 원석의 조각을 찾는 방법입니다.

사금질은 강이나 호수의 자갈 바닥에 있는 광석 침전물을 사용합니다.

사금질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빈 사금 접시가 필요합니다.

TFC 제작법: tfc:clay_knapping/pan

점토로 사금 접시를 만들 수 있습니다.

TFC 제작법: tfc:heating/ceramic_pan

사금 접시를 점토로 만들고, 세라믹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구워야 합니다.

다음으로는 광석 침전물이 필요합니다. 광석 침전물은 자연동, 자연은, 자연금과 주석석 4개의 종류가 있습니다.

멀티블록: 예시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deposit/native_gold/slate"
    }
}

점판암 속의 자연금 침전물.

이제 사금질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1. 사금 접시를 들고, 침전물 블록에 대고 사용하세요.

2. 물 속에서 사금 접시를 들고 key.use을 꾹 누르면 사금질이 시작됩니다.

3. 잠시 후, 운이 좋다면 몇 개의 작은 광석을 얻을 수 있습니다.

샌드위치

샌드위치는 2개의 과 3개의 샌드위치 재료 음식으로 만들 수 있는 음식으로, 재료에는 채소, 익힌 고기, 그리고 치즈가 들어갈 수 있습니다.

제작: tfc:crafting/wheat_sandwich

작업대에서 제작할 수 있는 샌드위치 제작법.

음식의 영양소, 물, 그리고 포화도는 샌드위치의 영양 성분으로 합쳐집니다. 빵의 비중은 50%인 반면, 재료 음식은 80%의 비중을 차지합니다. 썩은 재료로도 샌드위치를 만들 수 있습니다. 썩은 재료로 샌드위치를 만들어도 재료가 신선하다고 여겨지며, 다시 처음부터 상하기 시작합니다.

샐러드

샐러드그릇에 최대 5개의 과일, 채소, 또는 익힌 고기를 담아 준비되는 음식입니다. 샐러드는 특별한 샐러드 창에서 제작되며 그릇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TFC 제작법: tfc:clay_knapping/bowl_4

도자기 그릇은 점토로 형태를 만들고 구워서 제작할 수 있습니다.

샐러드 화면은 key.sneak 키를 누른 상태로 key.use하면 열 수 있습니다. 음식을 추가하고 준비가 끝나면, 오른쪽의 슬롯에서 샐러드를 꺼내세요.

샐러드의 영양소, 물, 그리고 포화도는 모든 재료의 영양소의 75%로 결정됩니다. 샐러드가 완성되면, 보존 기간이 초기화됩니다.

샐러드 인터페이스.

숯 구덩이

숯 구덩이을 얻기 위한 방법입니다. 숯 구덩이는 원목 더미로 만들어집니다. 원목 더미를 설치하려면 원목을 든 상태로 key.sneak 키를 누르고 key.use을 누르면 됩니다. 원목을 든 상태로 key.use을 누르면 나무를 더 추가할 수 있으며 다른 아이템을 든 상태로 누르면 인터페이스를 열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원목 더미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log_pile"
    }
}

원목 더미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바로 아래에 단단한 블록이 필요합니다. 이들은 또한 굉장히 잘 불탑니다.

숯 구덩이는 단단한 불연성 블록으로 원목 더미를 둘러싸서 형성됩니다. 생성되는 숯의 양은 원목 더미 안에 들어 있는 원목의 양에 비례합니다. 그리고 나서 시작하려면 원목 하나에 불을 붙이고 다시 덮으면 됩니다. 제대로 했다면, 그 위에 연기 입자가 올라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     ",
            "     ",
            "     ",
            "     ",
            "     "
        ],
        [
            "     ",
            "     ",
            "     ",
            "     ",
            "     "
        ],
        [
            "XXXXX",
            "XXXXX",
            "XX0XX",
            "XXXXX",
            "XXXXX"
        ]
    ],
    "mapping": {
        "X": "tfc:dirt/sandy_loam",
        "0": "tfc:dirt/sandy_loam"
    }
}
{
    "pattern": [
        [
            "     ",
            "     ",
            "     ",
            "     ",
            "     "
        ],
        [
            "XXXXX",
            "XYYYX",
            "XYYYX",
            "XYYYX",
            "XXXXX"
        ],
        [
            "XXXXX",
            "XXXXX",
            "XX0XX",
            "XXXXX",
            "XXXXX"
        ]
    ],
    "mapping": {
        "X": "tfc:dirt/sandy_loam",
        "0": "tfc:dirt/sandy_loam",
        "Y": "tfc:log_pile"
    }
}
{
    "pattern": [
        [
            "     ",
            "     ",
            "     ",
            "     ",
            "     "
        ],
        [
            "XXXXX",
            "XYYYX",
            "XYYYX",
            "XYYYX",
            "XXXXX"
        ],
        [
            "XXXXX",
            "XXXXX",
            "XX0XX",
            "XXXXX",
            "XXXXX"
        ]
    ],
    "mapping": {
        "X": "tfc:dirt/sandy_loam",
        "0": "tfc:dirt/sandy_loam",
        "Y": "tfc:burning_log_pile"
    }
}
{
    "pattern": [
        [
            "     ",
            " XXX ",
            " XXX ",
            " XXX ",
            "     "
        ],
        [
            "XXXXX",
            "XYYYX",
            "XYYYX",
            "XYYYX",
            "XXXXX"
        ],
        [
            "XXXXX",
            "XXXXX",
            "XX0XX",
            "XXXXX",
            "XXXXX"
        ]
    ],
    "mapping": {
        "X": "tfc:dirt/sandy_loam",
        "0": "tfc:dirt/sandy_loam",
        "Y": "tfc:log_pile"
    }
}
{
    "pattern": [
        [
            "     ",
            "     ",
            "     ",
            "     ",
            "     "
        ],
        [
            "XXXXX",
            "XYYYX",
            "XYYYX",
            "XYYYX",
            "XXXXX"
        ],
        [
            "XXXXX",
            "XXXXX",
            "XX0XX",
            "XXXXX",
            "XXXXX"
        ]
    ],
    "mapping": {
        "X": "tfc:dirt/sandy_loam",
        "0": "tfc:dirt/sandy_loam",
        "Y": "tfc:charcoal_pile[layers=7]"
    }
}

숯 구덩이 제작 순서의 예시.

숯 구덩이가 다 타오르고 연기가 나지 않으면, 숯 더미가 남습니다. 숯 더미는 최대 8장의 을 포함합니다. 숯을 얻으려면 숯 더미를 삽으로 파내면 됩니다. 숯 더미는 key.use을 눌러 설치할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charcoal_pile[layers=1]"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charcoal_pile[layers=2]"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charcoal_pile[layers=3]"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charcoal_pile[layers=4]"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charcoal_pile[layers=5]"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charcoal_pile[layers=6]"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charcoal_pile[layers=7]"
    }
}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charcoal_pile[layers=8]"
    }
}

숯 더미.

숯불 노

숯불 노는 아이템을 가열하고 녹일 수 있는 장치입니다. 숯불 노는 도가니를 작동시키기 위해 필요합니다. 이들은 특히나 아이템을 가열하고 모루를 사용하기 위해 준비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숯불 노는 불이 붙은 숯 더미 7-8장을 5개의 블록으로 둘러싸 건설할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숯불 노

"tfc:charcoal_forge"

불을 붙일 준비가 된 완성된 멀티블록.

숯불 노는 작동하기 위해서 공기가 통해야 합니다. 숯불 노의 바로 위의 블록은 공기이거나 도가니여야 합니다. 또한 바로 위에 있는 블록 또는 주변 8개 블록 중 하나의 위쪽이 뚫려 있어야 합니다. 오른쪽에 있는 파란색 색유리가 해당 부분을 표시합니다.

풀무를 숯불 노 대각선 위쪽에 설치하여 도달 가능한 최대 온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  G  ",
            "  G  ",
            "GGCGG",
            "  G  ",
            "  G  "
        ],
        [
            "XXXXX",
            "XXXXX",
            "XX0XX",
            "XXBXX",
            "XXXXX"
        ]
    ],
    "mapping": {
        "X": "tfc:rock/smooth/gabbro",
        "G": "minecraft:light_blue_stained_glass",
        "0": "tfc:charcoal_forge[heat_level=7]",
        "C": "tfc:crucible",
        "B": "tfc:bellows"
    }
}

숯불 노의 인터페이스.

숯불 노의 바닥에 있는 5개의 슬롯은 연료 슬롯입니다. 숯불 노를 작동하는 동안 연료가 소모되며, 연료로는 이나 석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위쪽의 5개 슬롯은, 아이템을 왼쪽에 표시된 온도까지 가열합니다. 오른쪽의 슬롯에 작은 항아리금형 등을 놓으면 액체 금속을 담을 수 있습니다. 숯불 노에서 녹은 아이템들은 이들에게 들어갑니다.

용광로

용광로강철 제작에 사용되는 심화 장치입니다. 철 광석, , 플럭스를 뜨겁고 잘 조정된 환경에서 섞으면, 주철이나 연철보다 더 강한 금속을 만들 수 있습니다.

용광로를 만들려면 도가니와 다량의 연철 판이 필요합니다.

제작: tfc:crafting/blast_furnace

용광로 건설에는 도가니가 들어가며, 연철판 역시 필요합니다.

용광로와 함께 굴뚝을 건설해야 합니다. 굴뚝은 뜨겁고 강렬한 열기를 감당하기 위해서 내화벽돌로 만들어야 합니다. 그리고서는 굴뚝을 강화하기 위해 연철판이 필요합니다. 원한다면 강철 등의 더 강한 재료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용광로

"tfc:blast_furnace"

최소 높이의 굴뚝만을 가진 용광로.

용광로의 굴뚝은 최대 5블록까지 높일 수 있습니다. 각 층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4개의 내화벽돌과 12개의 연철 판이 있어야 합니다. 층을 높일수록 용광로의 용량을 증가시키며, 한 번에 더 많이 강철을 제작할 수 있게 합니다. 최대 5층까지의 각각의 층마다 용광로에 광석 4개 분량의 용량을 추가합니다.

용광로를 사용해서 강철을 생산하려면 굴뚝으로 아이템을 넣어야 합니다. 이때 철 광석플럭스는 같은 양이어야 합니다. 광석으로는 철광석이나 녹아서 주철이 되는 아이템을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용광로가 작동하는 데 사용되는 역시 필요합니다.

용광로를 클릭하면 오른쪽에 보이는 바와 같이 용광로 인터페이스가 열립니다. 이 인터페이스에는 용광로의 광석 및 연료의 양이 표시됩니다. 오른쪽 위의 슬롯에는 용광로에 바람을 불어넣어 온도를 최대로 올리기 위해 송풍구가 있어야 합니다. 송풍구는 모루에서 만들 수 있습니다.

용광로 인터페이스

철을 녹이기 위한 최대 온도까지 높이기 위해서는 풀무 역시 필요합니다. 풀무는 용광로 주변 4 블록중 어느 곳에나 설치할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tfc:full_blast_furnace"

도가니와 풀무가 장착된 최대 크기의 용광로.

이제 시작하려면 용광로를 불피우개부싯돌과 부시로 켜야 합니다. 그러면 안에 있는 광석들이 가열되기 시작합니다. 용광로의 온도가 숯의 최대 온도까지 도달한 후에는 계속 풀무질을 해야 합니다. 안의 광석들이 충분히 가열되면 광석들이 녹아 선철이 만들어집니다.

이 액체 금속은 도가니와 같이 용광로 바로 아래의 액체 저장소로 들어갑니다. 선철을 주괴 금형으로 주조한 후에 강철로 단조할 수 있습니다.

유제품

유제품

Dairy is a Nutrient obtained from the milk produced by Dairy Animals. It can be drank, or processed into Cheese. Drinking can be done out of a jug, and always restores Thirst. However, it only adds to nutrition when drank after eating a food. Practically, this means that drinking milk twice in a row is ineffectual. A meal must precede it.

치즈 제작 과정을 시작하려면, 우유식초를 9:1의 비율로 에 담으세요. 가장 쉽게 하려면 통에 우유를 양동이 9개만큼 담고 식초를 양동이 하나만큼 담으면 됩니다. 이로서 버터밀크를 만들 수 있습니다.

TFC 제작법: tfc:barrel/curdling

우유와 식초를 섞고, 8시간동안 통을 밀봉하면 응고됩니다. 별도의 재료는 필요 없으며 기다리기만 하면 됩니다.

TFC 제작법: tfc:barrel/cheese

치즈는 응고된 우유를 다시 8시간동안 통에서 밀봉하면 만들어집니다. 치즈는 오래 보존되는 유제품이며 샌드위치 등의 식품에 첨가되어 유제품 영양소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음식 보존

TerraFirmaCraft에서는 영원한 음식 같은 건 없습니다! 음식은 시간이 지나면 상해서 썩습니다. 썩은 음식은 배고픔을 채워주지 않으며 배고픔이나 등의 효과를 줄 수도 있습니다!

다행히도 음식을 더 오래 보관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의 보존 방법이 있습니다.

음식 아이템에 마우스를 올리면, 음식이 상할 때 까지 남은 시간을 담은 툴팁이 보여집니다. 툴팁은 대략 다음과 같이 생겼습니다:

다음 날짜에 상함: 5:30 7월 5년, 1000일 (5일 후)

다양한 보존 방법을 사용하면 이 날짜를 연장하여 음식이 상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늘릴 수 있습니다.

항아리

가장 쉬운 보존 방법 중 하나는 항아리입니다. 큰 항아리에는 최대 9종류의 아이템을 넣을 수 있으며, 밀봉할 시 내부의 아이템은 보존됨 상태가 되어 보존 기간을 2배로 늘립니다.

작은 항아리에는 최대 4종류의 아이템을 넣을 수 있으며, 역시나 내용물에 보존됨 상태를 부여합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ceramic/large_vessel[sealed=true]"
    }
}

밀봉된 큰 항아리.

굽기

또 다른 간단한 보존 방법에는 굽는 것이 있습니다. 고기는 날것일 때 보다 구웠을 때 더 오래 보존됩니다.

구울 때 알맞은 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숯불 노 또는 도가니처럼 과도하게 뜨거운 장치들은 음식을 요리하기에는 적합치 않으며, 음식을 더 빨리 상하게 합니다!

TFC 제작법: tfc:heating/mutton

대신, 모닥불이나 석쇠를 사용하면 보존 기간에 보너스를 줍니다! 예를 들면, 위처럼 양고기를 모닥불에 구우면 보존 기간이 1.33배 증가하며 석쇠에 구우면 1.66배 증가합니다.

염장

염장은 고기를 더 오래 보존하는 방법입니다. 고기를 염장하려면 조합 창에서 고기와 소금을 조합해야합니다. 염장은 날고기만 가능합니다. 그리고 나서는 굽거나 다른 보존 수단을 사용해도 염장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TFC 제작법: tfc:quern/salt

소금을 얻는 방법에는 광물 암염가는 것이 있습니다.

멀티블록: 염지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groundcover/salt_lick"
    }
}

소금은 숲에서 자연적으로 찾을 수 있습니다. 다시 설치하고 부술 수도 있습니다.

식초 보존은 과일과 채소, 고기를 보존하는 방법입니다.

식초에서 과일을 술 250mB에 밀봉하여 만들 수 있습니다. 식초에 음식을 보존하려면 먼저 염수식초절여져야 합니다. 염수는 식초바닷물을 1:9로 섞어 만들 수 있습니다.

음식이 절여지면, 이제 식초가 담긴 통에 보존할 수 있습니다. 절인 아이템 하나당 125mB의 식초가 있으면 음식이 보존됩니다.

Food should be stored in either sealed large vessels or in Small Vessels. Food that is left sitting in chests or other devices can attract Rats. Rats are able to open containers and eat the food out of them, but will despawn if they can't find something for a few minutes. You will be alerted to a rat's presence by the message 'This container has a foul smell'.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unsealing and resealing a large vessel before you leave the GUI will never attract pests.

작물

작물은 음식과 여러 재료들을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 각각의 작물마다 약간은 다르지만, 작물에는 비슷한 법칙이 있습니다. 작물을 기르기 시작하려면 씨앗이 필요하며, 씨앗은 야생 작물을 찾아서 부수면 얻을 수 있습니다.

씨를 얻었다면 이제 괭이가 필요합니다. 씨앗은 또한 낚싯대 미끼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TFC 제작법:
tfc:rock_knapping/hoe_head_sedimentary
tfc:rock_knapping/hoe_head_metamorphic
tfc:rock_knapping/hoe_head_igneous_extrusive
tfc:rock_knapping/hoe_head_igneous_intrusive

석기 시대에는, 괭이는 위처럼 돌을 떼어 만들 수 있습니다.

제작: tfc:crafting/stone/hoe_sedimentary

Once the hoe head is knapped, it can be crafted into a Hoe.

Hoes function as in Vanilla, by right clicking dirt blocks to turn them into Farmland. They can also be used to convert Rooted Dirt into Dirt.

모든 작물들은 경작지 위에 심어져야 자랄 수 있습니다. 몇몇 작물들은 물 속에 있어야 한다거나 막대기가 필요한 등의 추가적인 조건이 필요하기도 합니다.

식물이 자라는 데에 영양소가 꼭 필요한 것은 아니나, 식물의 성장을 도와줍니다. 영양소에는 질소, , 칼륨 3종류가 있습니다. 각각의 작물에는 선호하는 영양소가 있습니다.

작물이 선호하는 영양소를 소모하면 더 빨리 자라며, 작물의 수확량도 늘어납니다. 즉, 작물을 부술 때 더 많은 아이템이 나옵니다. 영양소를 소모하면 그 주변의 다른 영양소들을 약간 보충해주는 효과도 있습니다.

보리

기온: -8 - 26 °C
수분: 18 - 75 %
선호 영양소: 질소

보리는 한 블록 높이의 작물입니다. 보리 씨앗은 경작지에 심을 수 있으며 보리보리 씨앗을 수확할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barley[age=0]",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barley[age=1]",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barley[age=2]",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barley[age=3]",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barley[age=4]",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barley[age=5]",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barley[age=6]",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barley[age=7]",
        "Y": "tfc:farmland/loam"
    }
}

귀리

기온: 3 - 40 °C
수분: 35 - 100 %
선호 영양소: 인

귀리는 한 블록 높이의 작물입니다. 귀리 씨앗은 경작지에 심을 수 있으며 귀리귀리 씨앗을 수확할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oat[age=0]",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oat[age=1]",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oat[age=2]",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oat[age=3]",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oat[age=4]",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oat[age=5]",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oat[age=6]",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oat[age=7]",
        "Y": "tfc:farmland/loam"
    }
}

호밀

기온: -11 - 30 °C
수분: 25 - 85 %
선호 영양소: 인

호밀은 한 블록 높이의 작물입니다. 호밀 씨앗은 경작지에 심을 수 있으며 호밀호밀 씨앗을 수확할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rye[age=0]",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rye[age=1]",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rye[age=2]",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rye[age=3]",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rye[age=4]",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rye[age=5]",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rye[age=6]",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rye[age=7]",
        "Y": "tfc:farmland/loam"
    }
}

옥수수

기온: 13 - 40 °C
수분: 75 - 100 %
선호 영양소: 인

옥수수는 두 블록 높이의 작물입니다. 옥수수 씨앗은 경작지에 심을 수 있으며 두 블록 높이로 자라납니다. 옥수수옥수수 씨앗을 수확할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Y"
        ],
        [
            "Z"
        ],
        [
            "0"
        ]
    ],
    "mapping": {
        "X": "minecraft:air",
        "Y": "tfc:crop/maize[age=0,part=bottom]",
        "Z":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Z"
        ],
        [
            "0"
        ]
    ],
    "mapping": {
        "X": "minecraft:air",
        "Y": "tfc:crop/maize[age=1,part=bottom]",
        "Z":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Z"
        ],
        [
            "0"
        ]
    ],
    "mapping": {
        "X": "minecraft:air",
        "Y": "tfc:crop/maize[age=2,part=bottom]",
        "Z":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Z"
        ],
        [
            "0"
        ]
    ],
    "mapping": {
        "X": "tfc:crop/maize[age=3,part=top]",
        "Y": "tfc:crop/maize[age=3,part=bottom]",
        "Z":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Z"
        ],
        [
            "0"
        ]
    ],
    "mapping": {
        "X": "tfc:crop/maize[age=4,part=top]",
        "Y": "tfc:crop/maize[age=4,part=bottom]",
        "Z":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Z"
        ],
        [
            "0"
        ]
    ],
    "mapping": {
        "X": "tfc:crop/maize[age=5,part=top]",
        "Y": "tfc:crop/maize[age=5,part=bottom]",
        "Z": "tfc:farmland/loam"
    }
}

기온: -4 - 35 °C
수분: 25 - 100 %
선호 영양소: 인

밀은 한 블록 높이의 작물입니다. 밀 씨앗은 경작지에 심을 수 있으며 밀 씨앗을 수확할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wheat[age=0]",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wheat[age=1]",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wheat[age=2]",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wheat[age=3]",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wheat[age=4]",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wheat[age=5]",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wheat[age=6]",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wheat[age=7]",
        "Y": "tfc:farmland/loam"
    }
}

기온: 15 - 30 °C
수분: 25 - 100 %
선호 영양소: 인

쌀은 한 블록 높이의 작물입니다. 쌀 씨앗은 경작지에 심을 수 있으며 한 칸 깊이의 민물에서 자라야 합니다. 쌀 씨앗을 얻을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rice[age=0,fluid=water]",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rice[age=1,fluid=water]",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rice[age=2,fluid=water]",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rice[age=3,fluid=water]",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rice[age=4,fluid=water]",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rice[age=5,fluid=water]",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rice[age=6,fluid=water]",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rice[age=7,fluid=water]",
        "Y": "tfc:farmland/loam"
    }
}

참고: 쌀이 자라기 위해서는 물에 잠겨 있어야 합니다.

비트

기온: -5 - 20 °C
수분: 18 - 85 %
선호 영양소: 칼륨

비트는 한 블록 높이의 작물입니다. 비트 씨앗은 경작지에 심을 수 있으며 비트비트 씨앗을 수확할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beet[age=0]",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beet[age=1]",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beet[age=2]",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beet[age=3]",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beet[age=4]",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beet[age=5]",
        "Y": "tfc:farmland/loam"
    }
}

양배추

기온: -10 - 27 °C
수분: 15 - 65 %
선호 영양소: 질소

양배추는 한 블록 높이의 작물입니다. 양배추 씨앗은 경작지에 심을 수 있으며 양배추양배추 씨앗을 수확할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cabbage[age=0]",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cabbage[age=1]",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cabbage[age=2]",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cabbage[age=3]",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cabbage[age=4]",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cabbage[age=5]",
        "Y": "tfc:farmland/loam"
    }
}

당근

기온: 3 - 30 °C
수분: 25 - 100 %
선호 영양소: 칼륨

당근은 한 블록 높이의 작물입니다. 당근 씨앗은 경작지에 심을 수 있으며 당근당근 씨앗을 수확할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carrot[age=0]",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carrot[age=1]",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carrot[age=2]",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carrot[age=3]",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carrot[age=4]",
        "Y": "tfc:farmland/loam"
    }
}

마늘

기온: -20 - 18 °C
수분: 15 - 75 %
선호 영양소: 질소

마늘은 한 블록 높이의 작물입니다. 마늘 씨앗은 경작지에 심을 수 있으며 마늘마늘 씨앗을 수확할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garlic[age=0]",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garlic[age=1]",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garlic[age=2]",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garlic[age=3]",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garlic[age=4]",
        "Y": "tfc:farmland/loam"
    }
}

완두

기온: 2 - 35 °C
수분: 38 - 100 %
선호 영양소: 질소

완두는 두 블록 높이의 덩굴 작물입니다. 완두 씨앗은 경작지에 심을 수 있으며 막대기가 있다면 두 블록 높이로 자라납니다. 완두완두 씨앗을 수확할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Y"
        ],
        [
            "Z"
        ],
        [
            "0"
        ]
    ],
    "mapping": {
        "X": "tfc:crop/green_bean[age=0,part=top,stick=true]",
        "Y": "tfc:crop/green_bean[age=0,part=bottom,stick=true]",
        "Z":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Z"
        ],
        [
            "0"
        ]
    ],
    "mapping": {
        "X": "tfc:crop/green_bean[age=1,part=top,stick=true]",
        "Y": "tfc:crop/green_bean[age=1,part=bottom,stick=true]",
        "Z":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Z"
        ],
        [
            "0"
        ]
    ],
    "mapping": {
        "X": "tfc:crop/green_bean[age=2,part=top,stick=true]",
        "Y": "tfc:crop/green_bean[age=2,part=bottom,stick=true]",
        "Z":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Z"
        ],
        [
            "0"
        ]
    ],
    "mapping": {
        "X": "tfc:crop/green_bean[age=3,part=top,stick=true]",
        "Y": "tfc:crop/green_bean[age=3,part=bottom,stick=true]",
        "Z":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Z"
        ],
        [
            "0"
        ]
    ],
    "mapping": {
        "X": "tfc:crop/green_bean[age=4,part=top,stick=true]",
        "Y": "tfc:crop/green_bean[age=4,part=bottom,stick=true]",
        "Z":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Z"
        ],
        [
            "0"
        ]
    ],
    "mapping": {
        "X": "tfc:crop/green_bean[age=5,part=top,stick=true]",
        "Y": "tfc:crop/green_bean[age=5,part=bottom,stick=true]",
        "Z":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Z"
        ],
        [
            "0"
        ]
    ],
    "mapping": {
        "X": "tfc:crop/green_bean[age=6,part=top,stick=true]",
        "Y": "tfc:crop/green_bean[age=6,part=bottom,stick=true]",
        "Z":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Z"
        ],
        [
            "0"
        ]
    ],
    "mapping": {
        "X": "tfc:crop/green_bean[age=7,part=top,stick=true]",
        "Y": "tfc:crop/green_bean[age=7,part=bottom,stick=true]",
        "Z": "tfc:farmland/loam"
    }
}

완두가 완전히 자라기 위해서는 막대기가 필요합니다.

감자

기온: -1 - 37 °C
수분: 50 - 100 %
선호 영양소: 칼륨

감자는 한 블록 높이의 작물입니다. 감자 씨앗은 경작지에 심을 수 있으며 감자감자 씨앗을 수확할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potato[age=0]",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potato[age=1]",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potato[age=2]",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potato[age=3]",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potato[age=4]",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potato[age=5]",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potato[age=6]",
        "Y": "tfc:farmland/loam"
    }
}

호박

Temperature: 0 - 30 °C
Hydration: 30 - 80 %
Nutrient: Phosphorus

Pumpkins are a spreading crop. Pumpkin seeds can be planted on farmland and will place up to two Pumpkin Blocks on the ground next to it while it is mature. If the pumpkin blocks are harvested, and the plant matures again, it can grow more pumpkins. Pumpkins can be made into Jack 'o Lanterns.

멀티블록:

{
    "pattern": [
        [
            "   ",
            " CP",
            "   "
        ],
        [
            "GGG",
            "G0G",
            "GGG"
        ]
    ],
    "mapping": {
        "G": "tfc:farmland/loam",
        "0": "tfc:farmland/loam",
        "C": "tfc:crop/pumpkin[age=0]",
        "P": "minecraft:air"
    }
}
{
    "pattern": [
        [
            "   ",
            " CP",
            "   "
        ],
        [
            "GGG",
            "G0G",
            "GGG"
        ]
    ],
    "mapping": {
        "G": "tfc:farmland/loam",
        "0": "tfc:farmland/loam",
        "C": "tfc:crop/pumpkin[age=1]",
        "P": "minecraft:air"
    }
}
{
    "pattern": [
        [
            "   ",
            " CP",
            "   "
        ],
        [
            "GGG",
            "G0G",
            "GGG"
        ]
    ],
    "mapping": {
        "G": "tfc:farmland/loam",
        "0": "tfc:farmland/loam",
        "C": "tfc:crop/pumpkin[age=2]",
        "P": "minecraft:air"
    }
}
{
    "pattern": [
        [
            "   ",
            " CP",
            "   "
        ],
        [
            "GGG",
            "G0G",
            "GGG"
        ]
    ],
    "mapping": {
        "G": "tfc:farmland/loam",
        "0": "tfc:farmland/loam",
        "C": "tfc:crop/pumpkin[age=3]",
        "P": "minecraft:air"
    }
}
{
    "pattern": [
        [
            "   ",
            " CP",
            "   "
        ],
        [
            "GGG",
            "G0G",
            "GGG"
        ]
    ],
    "mapping": {
        "G": "tfc:farmland/loam",
        "0": "tfc:farmland/loam",
        "C": "tfc:crop/pumpkin[age=4]",
        "P": "minecraft:air"
    }
}
{
    "pattern": [
        [
            "   ",
            " CP",
            "   "
        ],
        [
            "GGG",
            "G0G",
            "GGG"
        ]
    ],
    "mapping": {
        "G": "tfc:farmland/loam",
        "0": "tfc:farmland/loam",
        "C": "tfc:crop/pumpkin[age=5]",
        "P": "minecraft:air"
    }
}
{
    "pattern": [
        [
            "   ",
            " CP",
            "   "
        ],
        [
            "GGG",
            "G0G",
            "GGG"
        ]
    ],
    "mapping": {
        "G": "tfc:farmland/loam",
        "0": "tfc:farmland/loam",
        "C": "tfc:crop/pumpkin[age=6]",
        "P": "minecraft:air"
    }
}
{
    "pattern": [
        [
            "   ",
            " CP",
            "   "
        ],
        [
            "GGG",
            "G0G",
            "GGG"
        ]
    ],
    "mapping": {
        "G": "tfc:farmland/loam",
        "0": "tfc:farmland/loam",
        "C": "tfc:crop/pumpkin[age=7]",
        "P": "tfc:pumpkin"
    }
}

수박

기온: 5 - 37 °C
수분: 75 - 100 %
선호 영양소: 인

수박은 옆으로 자라는 작물입니다. 수박 씨앗은 경작지에 심을 수 있으며 성숙한 동안 양 옆으로 수박 블록을 자라게 합니다. 수박 블록을 수확하고 나서, 수박이 다시 성숙하면 수박 블록이 더 자랄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   ",
            " CP",
            "   "
        ],
        [
            "GGG",
            "G0G",
            "GGG"
        ]
    ],
    "mapping": {
        "G": "tfc:farmland/loam",
        "0": "tfc:farmland/loam",
        "C": "tfc:crop/melon[age=0]",
        "P": "minecraft:air"
    }
}
{
    "pattern": [
        [
            "   ",
            " CP",
            "   "
        ],
        [
            "GGG",
            "G0G",
            "GGG"
        ]
    ],
    "mapping": {
        "G": "tfc:farmland/loam",
        "0": "tfc:farmland/loam",
        "C": "tfc:crop/melon[age=1]",
        "P": "minecraft:air"
    }
}
{
    "pattern": [
        [
            "   ",
            " CP",
            "   "
        ],
        [
            "GGG",
            "G0G",
            "GGG"
        ]
    ],
    "mapping": {
        "G": "tfc:farmland/loam",
        "0": "tfc:farmland/loam",
        "C": "tfc:crop/melon[age=2]",
        "P": "minecraft:air"
    }
}
{
    "pattern": [
        [
            "   ",
            " CP",
            "   "
        ],
        [
            "GGG",
            "G0G",
            "GGG"
        ]
    ],
    "mapping": {
        "G": "tfc:farmland/loam",
        "0": "tfc:farmland/loam",
        "C": "tfc:crop/melon[age=3]",
        "P": "minecraft:air"
    }
}
{
    "pattern": [
        [
            "   ",
            " CP",
            "   "
        ],
        [
            "GGG",
            "G0G",
            "GGG"
        ]
    ],
    "mapping": {
        "G": "tfc:farmland/loam",
        "0": "tfc:farmland/loam",
        "C": "tfc:crop/melon[age=4]",
        "P": "minecraft:air"
    }
}
{
    "pattern": [
        [
            "   ",
            " CP",
            "   "
        ],
        [
            "GGG",
            "G0G",
            "GGG"
        ]
    ],
    "mapping": {
        "G": "tfc:farmland/loam",
        "0": "tfc:farmland/loam",
        "C": "tfc:crop/melon[age=5]",
        "P": "minecraft:air"
    }
}
{
    "pattern": [
        [
            "   ",
            " CP",
            "   "
        ],
        [
            "GGG",
            "G0G",
            "GGG"
        ]
    ],
    "mapping": {
        "G": "tfc:farmland/loam",
        "0": "tfc:farmland/loam",
        "C": "tfc:crop/melon[age=6]",
        "P": "minecraft:air"
    }
}
{
    "pattern": [
        [
            "   ",
            " CP",
            "   "
        ],
        [
            "GGG",
            "G0G",
            "GGG"
        ]
    ],
    "mapping": {
        "G": "tfc:farmland/loam",
        "0": "tfc:farmland/loam",
        "C": "tfc:crop/melon[age=7]",
        "P": "tfc:melon"
    }
}

양파

기온: 0 - 30 °C
수분: 25 - 90 %
선호 영양소: 질소

양파는 한 블록 높이의 작물입니다. 양파 씨앗은 경작지에 심을 수 있으며 양파양파 씨앗을 수확할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onion[age=0]",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onion[age=1]",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onion[age=2]",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onion[age=3]",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onion[age=4]",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onion[age=5]",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onion[age=6]",
        "Y": "tfc:farmland/loam"
    }
}

대두

기온: 8 - 30 °C
수분: 40 - 100 %
선호 영양소: 질소

대두는 한 블록 높이의 작물입니다. 대두 씨앗은 경작지에 심을 수 있으며 대두대두 씨앗을 수확할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soybean[age=0]",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soybean[age=1]",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soybean[age=2]",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soybean[age=3]",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soybean[age=4]",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soybean[age=5]",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soybean[age=6]",
        "Y": "tfc:farmland/loam"
    }
}

애호박

기온: 5 - 33 °C
수분: 23 - 95 %
선호 영양소: 칼륨

애호박은 한 블록 높이의 작물입니다. 애호박 씨앗은 경작지에 심을 수 있으며 애호박애호박 씨앗을 수확할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squash[age=0]",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squash[age=1]",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squash[age=2]",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squash[age=3]",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squash[age=4]",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squash[age=5]",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squash[age=6]",
        "Y":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0"
        ]
    ],
    "mapping": {
        "X": "tfc:crop/squash[age=7]",
        "Y": "tfc:farmland/loam"
    }
}

사탕수수

기온: 12 - 38 °C
수분: 40 - 100 %
선호 영양소: 칼륨

사탕수수는 두 블록 높이의 작물입니다. 사탕수수 씨앗은 경작지에 심을 수 있으며 두 블록 높이로 자라납니다. 사탕수수사탕수수 씨앗을 수확할 수 있습니다. 사탕수수로는 설탕을 만들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Y"
        ],
        [
            "Z"
        ],
        [
            "0"
        ]
    ],
    "mapping": {
        "X": "minecraft:air",
        "Y": "tfc:crop/sugarcane[age=0,part=bottom]",
        "Z":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Z"
        ],
        [
            "0"
        ]
    ],
    "mapping": {
        "X": "minecraft:air",
        "Y": "tfc:crop/sugarcane[age=1,part=bottom]",
        "Z":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Z"
        ],
        [
            "0"
        ]
    ],
    "mapping": {
        "X": "minecraft:air",
        "Y": "tfc:crop/sugarcane[age=2,part=bottom]",
        "Z":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Z"
        ],
        [
            "0"
        ]
    ],
    "mapping": {
        "X": "minecraft:air",
        "Y": "tfc:crop/sugarcane[age=3,part=bottom]",
        "Z":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Z"
        ],
        [
            "0"
        ]
    ],
    "mapping": {
        "X": "tfc:crop/sugarcane[age=4,part=top]",
        "Y": "tfc:crop/sugarcane[age=4,part=bottom]",
        "Z":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Z"
        ],
        [
            "0"
        ]
    ],
    "mapping": {
        "X": "tfc:crop/sugarcane[age=5,part=top]",
        "Y": "tfc:crop/sugarcane[age=5,part=bottom]",
        "Z":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Z"
        ],
        [
            "0"
        ]
    ],
    "mapping": {
        "X": "tfc:crop/sugarcane[age=6,part=top]",
        "Y": "tfc:crop/sugarcane[age=6,part=bottom]",
        "Z":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Z"
        ],
        [
            "0"
        ]
    ],
    "mapping": {
        "X": "tfc:crop/sugarcane[age=7,part=top]",
        "Y": "tfc:crop/sugarcane[age=7,part=bottom]",
        "Z": "tfc:farmland/loam"
    }
}

토마토

기온: 0 - 36 °C
수분: 30 - 95 %
선호 영양소: 칼륨

토마토는 두 블록 높이의 덩굴 작물입니다. 토마토 씨앗은 경작지에 심을 수 있으며 막대기가 있다면 두 블록 높이로 자라납니다. 토마토토마토 씨앗을 수확할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Y"
        ],
        [
            "Z"
        ],
        [
            "0"
        ]
    ],
    "mapping": {
        "X": "tfc:crop/tomato[age=0,part=top,stick=true]",
        "Y": "tfc:crop/tomato[age=0,part=bottom,stick=true]",
        "Z":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Z"
        ],
        [
            "0"
        ]
    ],
    "mapping": {
        "X": "tfc:crop/tomato[age=1,part=top,stick=true]",
        "Y": "tfc:crop/tomato[age=1,part=bottom,stick=true]",
        "Z":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Z"
        ],
        [
            "0"
        ]
    ],
    "mapping": {
        "X": "tfc:crop/tomato[age=2,part=top,stick=true]",
        "Y": "tfc:crop/tomato[age=2,part=bottom,stick=true]",
        "Z":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Z"
        ],
        [
            "0"
        ]
    ],
    "mapping": {
        "X": "tfc:crop/tomato[age=3,part=top,stick=true]",
        "Y": "tfc:crop/tomato[age=3,part=bottom,stick=true]",
        "Z":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Z"
        ],
        [
            "0"
        ]
    ],
    "mapping": {
        "X": "tfc:crop/tomato[age=4,part=top,stick=true]",
        "Y": "tfc:crop/tomato[age=4,part=bottom,stick=true]",
        "Z":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Z"
        ],
        [
            "0"
        ]
    ],
    "mapping": {
        "X": "tfc:crop/tomato[age=5,part=top,stick=true]",
        "Y": "tfc:crop/tomato[age=5,part=bottom,stick=true]",
        "Z":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Z"
        ],
        [
            "0"
        ]
    ],
    "mapping": {
        "X": "tfc:crop/tomato[age=6,part=top,stick=true]",
        "Y": "tfc:crop/tomato[age=6,part=bottom,stick=true]",
        "Z":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Z"
        ],
        [
            "0"
        ]
    ],
    "mapping": {
        "X": "tfc:crop/tomato[age=7,part=top,stick=true]",
        "Y": "tfc:crop/tomato[age=7,part=bottom,stick=true]",
        "Z": "tfc:farmland/loam"
    }
}

완두가 완전히 자라기 위해서는 막대기가 필요합니다.

황마

기온: 5 - 37 °C
수분: 25 - 100 %
선호 영양소: 칼륨

황마는 두 블록 높이의 작물입니다. 황마 씨앗은 경작지에 심을 수 있으며 두 블록 높이로 자라납니다. 황마황마 씨앗을 수확할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Y"
        ],
        [
            "Z"
        ],
        [
            "0"
        ]
    ],
    "mapping": {
        "X": "minecraft:air",
        "Y": "tfc:crop/jute[age=0,part=bottom]",
        "Z":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Z"
        ],
        [
            "0"
        ]
    ],
    "mapping": {
        "X": "minecraft:air",
        "Y": "tfc:crop/jute[age=1,part=bottom]",
        "Z":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Z"
        ],
        [
            "0"
        ]
    ],
    "mapping": {
        "X": "minecraft:air",
        "Y": "tfc:crop/jute[age=2,part=bottom]",
        "Z":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Z"
        ],
        [
            "0"
        ]
    ],
    "mapping": {
        "X": "tfc:crop/jute[age=3,part=top]",
        "Y": "tfc:crop/jute[age=3,part=bottom]",
        "Z":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Z"
        ],
        [
            "0"
        ]
    ],
    "mapping": {
        "X": "tfc:crop/jute[age=4,part=top]",
        "Y": "tfc:crop/jute[age=4,part=bottom]",
        "Z": "tfc:farmland/loam"
    }
}
{
    "pattern": [
        [
            "X"
        ],
        [
            "Y"
        ],
        [
            "Z"
        ],
        [
            "0"
        ]
    ],
    "mapping": {
        "X": "tfc:crop/jute[age=5,part=top]",
        "Y": "tfc:crop/jute[age=5,part=bottom]",
        "Z": "tfc:farmland/loam"
    }
}

작물 수화

농사 지을 때의 여러 어려움 중 하나는 작물들의 수화입니다. 지역의 강수량에 따라서 땅에는 기본적인 습기가 있습니다. 그러나 수분을 더 필요로 하는 작물에는 이가 충분치 않을 수 있습니다.

특정 블록의 수분을 보려면 괭이를 들고 있어야 합니다.

괭이를 들고 경작지 블록이나 작물을 바라보면 0% to 100%까지 현재 수분이 나타납니다.

경작지를 강수량이 적은 곳으로 옮기는 것을 제외한다면 수분을 더 감소시키는 방법은 없습니다. 다만, 바닐라 경작지처럼 근처에 블록이 있다면 수분이 늘어날 수는 있습니다.

지지대

지지대

In TerraFirmaCraft, raw rock is unstable and susceptible to Collapsing. Many rock blocks, including Raw Rock, Ores, Smooth and Spikes can all rain down on your head under the right circumstances.

Support Beams can be used to prevent collapses from occurring.

Collapses can occur whenever a player mines any Raw Rock that is near to Unsupported Raw Rock. Once a collapse has started, however, even previously Supported rock can start to collapse.

The rock on the roof of caves is Naturally Supported. Any raw rock with a non-collapsible solid block beneath it, is also Supported. Alternatively, Support Beams can support a wide area at once.

지지대

제작: tfc:crafting/wood/oak_support

To get started, Support Beams can be crafted with a Saw and any type of Logs.

Placing a Support Beam on top of a block places a column up to three tall. These must have a solid block beneath them to stay upright.

멀티블록:

{
    "pattern": [
        [
            "   ",
            "CRD",
            "   "
        ],
        [
            "   ",
            "V W",
            "   "
        ],
        [
            "   ",
            "V W",
            "   "
        ],
        [
            "GGG",
            "G0G",
            "GGG"
        ],
        [
            "   ",
            "   ",
            "   "
        ]
    ],
    "mapping": {
        "R": "air",
        "C": "air",
        "D": "air",
        "V": "air",
        "W": "air",
        "0": "tfc:rock/raw/andesite",
        "G": "tfc:rock/raw/andesite"
    }
}
{
    "pattern": [
        [
            "   ",
            "CRD",
            "   "
        ],
        [
            "   ",
            "V W",
            "   "
        ],
        [
            "   ",
            "V W",
            "   "
        ],
        [
            "GGG",
            "G0G",
            "GGG"
        ],
        [
            "   ",
            "   ",
            "   "
        ]
    ],
    "mapping": {
        "R": "air",
        "C": "tfc:wood/vertical_support/oak",
        "D": "air",
        "V": "tfc:wood/vertical_support/oak",
        "W": "air",
        "0": "tfc:rock/raw/andesite",
        "G": "tfc:rock/raw/andesite"
    }
}
{
    "pattern": [
        [
            "   ",
            "CRD",
            "   "
        ],
        [
            "   ",
            "V W",
            "   "
        ],
        [
            "   ",
            "V W",
            "   "
        ],
        [
            "GGG",
            "G0G",
            "GGG"
        ],
        [
            "   ",
            "   ",
            "   "
        ]
    ],
    "mapping": {
        "R": "air",
        "C": "tfc:wood/vertical_support/oak",
        "D": "tfc:wood/vertical_support/oak",
        "V": "tfc:wood/vertical_support/oak",
        "W": "tfc:wood/vertical_support/oak",
        "0": "tfc:rock/raw/andesite",
        "G": "tfc:rock/raw/andesite"
    }
}
{
    "pattern": [
        [
            "   ",
            "CRD",
            "   "
        ],
        [
            "   ",
            "V W",
            "   "
        ],
        [
            "   ",
            "V W",
            "   "
        ],
        [
            "GGG",
            "G0G",
            "GGG"
        ],
        [
            "   ",
            "   ",
            "   "
        ]
    ],
    "mapping": {
        "R": "tfc:wood/horizontal_support/oak[north=true,south=true]",
        "C": "tfc:wood/vertical_support/oak[south=true]",
        "D": "tfc:wood/vertical_support/oak[north=true]",
        "V": "tfc:wood/vertical_support/oak",
        "W": "tfc:wood/vertical_support/oak",
        "0": "tfc:rock/raw/andesite",
        "G": "tfc:rock/raw/andesite"
    }
}
{
    "pattern": [
        [
            "   ",
            "CRD",
            "   "
        ],
        [
            "   ",
            "V W",
            "   "
        ],
        [
            "   ",
            "V W",
            "   "
        ],
        [
            "GGG",
            "G0G",
            "GGG"
        ],
        [
            "   ",
            "   ",
            "   "
        ]
    ],
    "mapping": {
        "R": "tfc:wood/horizontal_support/oak[north=true,south=true]",
        "C": "tfc:wood/vertical_support/oak[south=true]",
        "D": "tfc:wood/vertical_support/oak[north=true]",
        "V": "tfc:wood/vertical_support/oak",
        "W": "tfc:wood/vertical_support/oak",
        "0": "tfc:rock/raw/andesite",
        "G": "tfc:rock/raw/andesite"
    }
}

Horizontal beams can be placed between to connect two Vertical beams that are within five blocks, as in the above diagram.

Only Horizontal Support Beams cause nearby blocks to be Supported. Any block within a 9 x 5 x 9 area centered on a horizontal support beam is considered Supported.

In addition to being supported by support beams, rock can be supported simply by the virtue of having a solid block below it, such as more rock.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Non Solid Blocks such as Stairs and Slabs, along with Smooth Stone, do not count as supporting.

Chiseling

Finally, it is important to know that Chiseling has the potential to cause collapses, just as easily as mining does, when it is done on any Raw Rock that has potential to cause a nearby collapse.

Remember kids: practice safe mining!

직조

직조는 다양한 종류의 실들을 으로 만드는 과정입니다. 직조의 최종 과정은 베틀에서 진행되지만, 양털과 같은 일부 직물들은 을 깎을 수 있는 동물로부터 얻어지므로 직조하기 위해서 물레가락으로 털실을 얻어야 합니다.

TFC 제작법: tfc:clay_knapping/spindle_head

굽지 않은 물레가락 머리는 점토로 만들어집니다. 물레가락 머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구워야 합니다. 물레가락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막대기와 조합해야 합니다.

제작: tfc:crafting/wool_yarn

양털과 물레가락을 조합하면 털실을 만들 수 있습니다.

제작: tfc:crafting/wood/acacia_loom

베틀은 목재나무로 만들 수 있습니다.

TFC 제작법: tfc:loom/wool_cloth

양털 천을 만들려면 16개의 털실이 필요합니다. 베틀에 key.use을 클릭하여 털실을 추가한 후, key.use을 꾹 눌러 베틀을 작동시킬 수 있습니다. 완성된 후, key.use을 누르면 아이템을 꺼낼 수 있습니다.

베틀 작업의 단계.

TFC 제작법: tfc:loom/wool_block

양털 천은 다시 양털 블록으로 직조할 수 있습니다. 양털 블록은 염색될 수 있습니다.

TFC 제작법: tfc:loom/silk_cloth

비단 천을 베틀에서 직조하여 만들 수 있습니다. 비단은 특정 상황에서는 양털 대신 쓰일 수 있습니다.

TFC 제작법: tfc:loom/burlap_cloth

삼베 천은 쓰임새가 없지만, 황마 섬유로 만들 수는 있습니다.

제작: tfc:crafting/vanilla/color/light_blue_bed

제작: tfc:crafting/vanilla/painting

축산업

가축은 플레이어가 길들이고 교배할 수 있는 동물들입니다. 가축은 수컷암컷이 있습니다. 몇몇 동물들은 암수를 명확히 구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수퇘지에게는 엄니가 있습니다.

가축은 나이가 있습니다. 처음에는 새끼로 태어납니다. 새끼들은 작고 플레이어에게 뭔가 해줄 수 없습니다. 특정 기간 후, 그들은 성체가 됩니다. 성체들은 교배하거나 우유를 짜는 등의 일을 할 수 있습니다. 충분히 교배하고 작업한 이후에 동물은 늙습니다. 늙은 동물들은 그들의 고기를 제외하면 쓸모가 없습니다.

이 수소는 늙어서 교배할 수 없으며, 가죽이 얼룩지고 눈이 흐립니다.

가축에게는 먹이를 주어서 친밀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각각의 동물들은 선호하는 음식이 있습니다. 동물에게 먹이를 주려면, key.sneak 키를 누르고 음식을 든 채로 key.use을 누르면 됩니다.

Livestock have a Familiarity Indicator that shows how familiar they are with you. Hold key.sneak and look at the animal to reveal it.

Familiarity decays a little each day if not fed. Raising the familiarity enough prevents decay, indicated by the white outlined heart.

Adult livestock cannot be fully familiarized, indicated by the red outlined heart. Babies can reach 100% familiarity.

포유류임신을 하는 가축입니다. 30% 이상의 친밀도를 가졌고 당일에 먹이를 준 성체 포유류는 근처에 다른 성별의 동물이 있으면 짝짓기를 할 수 있습니다. 암컷 동물은 임신하며, 수정한 이후 특정 기간 후 새끼를 낳습니다.
예시로는 돼지가 있습니다.

이 있는 포유류는 성체이고 당신과 충분히 친밀하다면 깎을 수 있습니다. 예시로는 , 알파카, 그리고 사향소가 있습니다.

우유를 짤 수 있는 포유류는 암컷에게 양동이로 우클릭을 하여 우유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예시로는 염소, , 그리고 야크가 있습니다.

둥지 상자

제작: tfc:crafting/nest_box

난생 동물포유류가 아니며, 을 낳아서 번식합니다. 알을 낳기 위해는 둥지 상자가 필요합니다.
예시로는 오리, 메추라기, 그리고 이 있습니다.

TFC 제작법: tfc:heating/cooked_egg

은 굽거나 삶아 먹을 수 있습니다. 수컷 난생동물은 암컷을 수정시킬 수 있으며, 수정된 암컷은 둥지 상자에 알을 낳습니다. 알에는 부화하기까지 얼마나 걸리는지에 대한 툴팁이 있습니다.

TFC 제작법: tfc:leather_knapping/saddle

말속 동물들은 타거나 길들일 수 있습니다. 그들을 타기 위해서는 15% 이상의 친밀도가 필요합니다.

타기 위해서는 가죽으로 만드는 안장이 필요합니다. 말속 동물에는 노새, 당나귀, 그리고 이 있습니다.

다음 페이지에는 가축들의 종류가 있습니다.

돼지

돼지기온이 -10°C 이상 35°C 이하이고 강수량이 200mm 이상인 온화한 숲에서 생성됩니다. 돼지는 특별한 점 없는 평범한 포유류입니다. 돼지는 아무 음식이나 먹으며 썩은 음식도 먹을 수 있습니다. 1-10마리의 새끼를 19일의 임신 후 낳으며, 80일 뒤에 성체가 됩니다. 최대 6번 새끼를 가질 수 있습니다.

엔티티: 돼지 (Pig)

A pig.

기온이 -10°C 이상 35°C 이하이고 강수량이 250mm 이상인 대부분의 기후에서 생성됩니다. 소는 우유를 짤 수 있습니다. 소는 곡물만 먹으며 썩은 음식도 먹을 수 있습니다. 1-2마리의 새끼를 58일의 임신 후 낳으며, 192일 뒤에 성체가 됩니다. 우유를 짜지 않는다면 최대 13번 새끼를 가질 수 있으며, 번식하지 않는다면 최대 128번 우유를 짤 수 있습니다. 우유는 매일 짤 수 있습니다

엔티티: 소 (Cow)

A cow.

염소

염소기온이 -12°C 이상 25°C 이하이고 강수량이 300mm 이상인 온화한 기후에서 생성됩니다. 염소는 우유를 짤 수 있습니다. 염소는 곡물, 과일, 그리고 채소를 먹으며 썩은 음식도 먹을 수 있습니다. 1-2마리의 새끼를 32일의 임신 후 낳으며, 96일 뒤에 성체가 됩니다. 우유를 짜지 않는다면 최대 6번 새끼를 가질 수 있으며, 번식하지 않는다면 최대 60번 우유를 짤 수 있습니다. 우유는 3일마다 짤 수 있습니다.

엔티티: 염소 (Goat)

A goat.

야크

야크기온이 -11°C 이하이고 강수량이 100mm 이상인 추운 기후에서 생성됩니다. 야크는 우유를 짤 수 있습니다. 야크는 신선한 곡물만 먹습니다. 1마리의 새끼만을 64일의 임신 후 낳으며, 180일 뒤에 성체가 됩니다. 우유를 짜지 않았다면 최대 23번 새끼를 가질 수 있으며, 번식하지 않는다면 최대 230번 우유를 짤 수 있습니다, 우유는 매일 짤 수 있습니다.

엔티티: 야크 (Yak)

A yak.

알파카

알파카기온이 -8°C 이상 20°C 이하이고 강수량이 250mm 이상인 시원한 기후에서 생성됩니다. 알파카는 을 깎을 수 있습니다. 알파카는 곡물과일을 먹습니다. 1-2마리의 새끼를 36일의 임신 후 낳으며, 98일 뒤에 성체가 됩니다. 털을 깎지 않는다면 최대 13번 새끼를 가질 수 있으며, 번식하지 않는다면 최대 128번 털을 깎을 수 있습니다. 털은 6일마다 자라납니다.

엔티티: 알파카 (Alpaca)

An alpaca.

기온이 0°C 이상 35°C 이하이고 강수량이 70mm 이상 30mm 이하인 건조한 기후에서 생성됩니다. 양은 을 깎을 수 있습니다. 양은 곡물을 먹습니다. 1-2마리의 새끼를 32일의 임신 후 낳으며, 56 뒤에 성체가 됩니다. 털을 깎지 않는다면 최대 6번 새끼를 가질 수 있으며, 번식하지 않는다면 최대 60번 털을 깎을 수 있습니다. 털은 9일마다 자라납니다.

엔티티: 양 (Sheep)

A sheep.

사향소

사향소기온이 0°C 이상 25°C 이하이고 강수량이 100mm 이상인 온화한 기후에서 생성됩니다. 사향소는 을 깎을 수 있습니다. 사향소는 곡물을 먹습니다. 1마리의 새끼만을 64일의 임신 후 낳으며, 168일 뒤에 성체가 됩니다. 털을 깎지 않는다면 최대 16번 새끼를 가질 수 있습니다.

엔티티: 사향소 (Musk Ox)

A musk ox.

기온이 14°C 이상이고 강수량이 225mm 이상인 따뜻한 숲에서 생성됩니다. 닭은 난생동물입니다. 닭은 곡물, 과일, 채소, 그리고 씨앗을 먹으며 썩은 음식도 먹을 수 있습니다. 달걀은 8일 후에 부화하며 24일 뒤에 성체가 됩니다. 알은 최대 100번, 30시간마다 낳을 수 있습니다.

엔티티: 닭 (Chicken)

A chicken.

오리

오리기온이 -25°C 이상 30°C 이하이고 강수량이 100mm 이상인 평원에서 생성됩니다. 오리는 난생동물입니다. 오리는 곡물, 과일, 채소, , 그리고 씨앗을 먹습니다. 오리 알은 8일 후에 부화하며 32일 뒤에 성체가 됩니다. 알은 최대 72번, 32시간마다 낳을 수 있습니다.

엔티티: 오리 (Duck)

A duck.

메추라기

메추라기기온이 -15°C 이상 15°C 이하이고, 강수량이 200mm 이상인 추운 기후에서 생성됩니다. 메추라기는 난생동물입니다. 메추라기는 곡물, 과일, 채소, 그리고 씨앗을 먹으며 썩은 음식도 먹을 수 있습니다. 메추라기 알은 8일 후에 부화하며 22일 뒤에 성체가 됩니다. 알은 최대 48번, 28시간마다 낳을 수 있습니다.

엔티티: 메추라기 (Quail)

A quail.

당나귀

당나귀기온이 -15°C 이상이고 강수량이 130mm 이상 40mm 이하인 습한 평원에서 생성됩니다. 당나귀는 말속 동물이며 상자를 달 수 있습니다. 당나귀는 곡물과일을 먹습니다. 1마리의 새끼만을 19일의 임신 후에 낳으며, 80일 뒤에 성체가 됩니다. 최대 6번 새끼를 가질 수 있습니다.

엔티티: 당나귀 (Donkey)

A donkey.

노새

노새기온이 -15°C 이상이고 강수량이 130mm 이상 40mm 이하인 습한 평원에서 생성됩니다. They are a kind of 말속 동물이며 상자를 달 수 있습니다. 노새는 곡물과일을 먹습니다. 또한 노새는 과 당나귀의 잡종으로 번식할 수 없으며 80일 뒤에 성체가 됩니다.

엔티티: 노새 (Mule)

A mule.

기온이 -15°C 이상이고 강수량이 130mm 이상 40mm 이하인 평원에서 생성됩니다. 말은 말속 동물입니다. 말은 곡물과일을 먹습니다. 1마리의 새끼만을 19일의 임신 후에 낳으며, 80일 뒤에 성체가 됩니다. 최대 6번 새끼를 가질 수 있습니다.

엔티티: 말 (Horse)

A horse.

은 아이템과 액체를 보관할 수 있는 장치입니다. 중앙 슬롯에는 아이템을 넣을 수 있습니다. 액체는 왼쪽에 있는 칸에 보여지며, 양동이주전자를 왼쪽 위 슬롯에 넣어 추가할 수 있습니다. 같은 슬롯에 빈 양동이나 주전자를 넣으면 액체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아니면 양동이를 들고 통에 key.use을 눌러도 됩니다.

통 인터페이스.

통은 밀봉될 수 있습니다. 통을 밀봉하면 부숴도 내용물이 보존됩니다. 통으로는 또한 여러 가지 아이템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 인터페이스에서 오른쪽의 회색 버튼으로 밀봉 상태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웅크린 채로 통을 클릭해도 밀봉 상태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통 관련 팁

  • 통을 들고 액체 블록을 클릭하면 통을 채울 수 있습니다.
  • 비가 올 때는 통이 서서히 물로 채워집니다
  • 통 위에서 고드름이 녹으면 물이 통에 채워집니다
  • 통을 밀봉하면 중앙 슬롯을 제외한 다른 슬롯에 있는 아이템들이 빠져나옵니다.

제작

통은 여러 액체들과 아이템을 섞기 위한 중요한 장치입니다. 제작법으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통이 올바른 비율의 액체와 아이템으로 채워져야 합니다. 어떤 제작법은 통을 밀봉하고 기다려야 완성할 수 있습니다.

통에 있는 아이템과 액체의 비율이 조합법과 맞지 않다면, 초과된 액체나 아이템은 소멸됩니다. 그러나 제작법이.

TFC 제작법: tfc:barrel/limewater

석회수이 담긴 통에 플럭스를 넣어 만듭니다. 하나의 플럭스 500 mB을 석회수로 바꿉니다. 석회수가죽 제작이나 회반죽을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

TFC 제작법: tfc:barrel/tannin

탄닌 이 담긴 통에 특정한 원목을 녹여 만드는 산성 용액입니다. 참나무, 자작나무, 밤나무, 더글러스 전나무, 히코리나무, 단풍나무, 세쿼이아 원목으로 탄닌을 만들 수 있습니다.

어떤 통 제작법은 두 개의 액체를 섞어서 제작됩니다. 이 작업은 하나의 재료로 채워진 통에 다른 재료로 채운 양동이를 액체 추가 슬롯에 넣어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런 방식의 제작법에는 식초우유가 담긴 통에 9:1 비율로 추가해서 만드는 버터밀크 등이 있습니다. 식초를 같은 비율로 바닷물에 추가하면 염수가 됩니다.

통은 또한 뜨거운 아이템들을 식힐 수 있습니다. , 올리브유, 또는 바닷물이 담긴 통에 뜨거운 아이템을 넣으면 아이템의 온도가 빠르게 낮아집니다.

통에서는 아이템을 염색하고 탈색할 수 있습니다. 염료 아이템을 냄비에서 끓이면 액체 염료를 만들 수 있습니다. 양탄자, 초, 석고 등 거의 모든 색깔 있는 아이템들은 염료가 담긴 통에 밀봉하여 염색할 수 있습니다. 염색된 아이템들은 잿물이 담긴 통에 밀봉하여 탈색할 수 있습니다. 잿물은 이 담긴 냄비에 나뭇재를 끓여 만들 수 있습니다. 나뭇재는 모닥불을 부수어 얻을 수 있습니다.

통은 식초로 음식을 보존할 수 있습니다. 식초는 과일이 담긴 통에 밀봉하여 만들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풀무

풀무는 다른 장치에 공기를 불어 넣어 장치의 온도를 높일 수 있는 장치입니다. 다만 더 높은 온도에서 불탈수록 많은 연료가 필요합니다. 풀무는 바로 앞의 블록이나 바로 앞의 한칸 아래 블록에게 공기를 불어넣을 수 있습니다. 이로써 풀무로는 모닥불이나 숯불 노 등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제작: tfc:crafting/bellows

풀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목표 장치를 향해 설치하기만 하면 됩니다. 풀무로 장치에 바람을 불어넣으면 잠시동안 장치의 최고 온도를 증가시킵니다.

플럭스

플럭스는 용접용광로의 촉매로 사용되는 가루입니다. 플럭스는 특정 아이템을 맷돌로 갈아서 얻을 수 있습니다.

플럭스는 많은 방법으로 얻을 수 있으며, 그 중 하나는 붕사 광석을 찾는 것입니다.

TFC 제작법: tfc:quern/fluxstone

석회암, 백운암, 백악, 대리암맷돌로 갈아도 플럭스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인갑, 조개, 달팽이, 가재 역시 플럭스 제작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필기대

필기대는 아이템의 이름을 바꾸기 위해 사용돕니다. 필기대를 사용하려면 검은색 염료가 필요하며, 염료는 염료 아이템이나 염료 양동이로 추가할 수 있습니다.

멀티블록:

{
    "pattern": [
        [
            "X"
        ],
        [
            "0"
        ]
    ],
    "mapping": {
        "X": "tfc:wood/scribing_table/kapok"
    }
}

필기대.

제작: tfc:crafting/wood/birch_scribing_table

필기대 제작법.

필기대 스크린은 맨 위에 이름 변경 칸이 있으며, 왼쪽에 입력 슬롯과 중앙에 염료 슬롯이 있습니다. 결과물은 오른쪽 슬롯으로 나옵니다.